[권세진의 눈] 기후변화…'착한 봉사'에서 '블루오션'으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11.07 14:46


[에너지경제신문 권세진 기자] 지구온난화 대응은 이제 "북극곰이 죽어가고 있어요"와 같은 사회운동 담론을 넘었다. 구체적 비즈니스 모델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오윤 산자수렌 녹색기후기금(GCF) 대외협력국장은 최근 이렇게 말했다.

"기후변화 대응사업에 앞으로 15년 동안 전 세계에서 90조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기후변화 대응은 ‘착한’ 봉사활동에 머물지 않는다. ‘블루오션’ 차원에서 접근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기후변화 대응사업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통해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신산업정책과 담당자는 국내 기후변화 대응사업 모델로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비롯해 친환경에너지타운, 전기차, 스마트팜 등을 제시했다. 모두 정부가 장려하고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는 분야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탄소배출 저감 정책의 일환이기도 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통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7일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워킹그룹이 산업부에 제출한 권고안에서도 "에너지전환이 경제성장의 새로운 원천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에너지전환에 따라 2050년까지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의 0.8%(1조6000억 달러) 증가를 예상했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효율 개선의 새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국제신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재생에너지 고용이 2050년까지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요한 것은 블루오션이 모두 대기업 몫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있다. 배출권 할당 대상 기업 중 대기업들은 탄소배출저감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지속가능보고서 등을 통한 검증을 거치며 새로운 사업모델에 선제적으로 적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 대응사업이 대기업 투자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소기업이 함께 참여할 경우 더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바크시 파텔 GCF 국제파트너관계 담당자는 "민간과 공공부문의 다양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래 기후변화 대응산업 생태계에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해 건강한 공존을 이루기를 기대해 본다.

권세진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