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원전株 '울상'...신재생 관련株 영향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11.08 15:59

한전KPS, 3분기 어닝쇼크...올해 고점比 45% 넘게 하락
정부 탈원전 의지 재확인에 원전 관련株 약세 지속
재생에너지 관련株도 약세...특별한 상승요인 없어

▲(사진=연합)


정부가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는 권고안을 공개하는 등 탈원전 정책 의지를 확고히 하면서 원전 관련주의 부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 관련주 역시 정부 발표가 기존의 정책 방향을 재확인하는 정도라는 점에서 부진한 주가에 특별한 수혜가 되지는 않으리란 분석이다.

7일 발전설비 정비업체인 한전KPS의 주가는 올해 고점 대비 45% 넘게 하락한 2만85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한전KPS 주가 하락의 원인은 3분기 어닝쇼크 때문이다. 정부의 탈석탄·탈원전 정책에 따른 정비물량 감소 등이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폐쇄 사업소로 인한 물량 감소와 발전정비 원가조사 영향으로 화력부문 매출이 부진했고, 원자력 역시 계획예방과 개보수공사 감소로 실적이 저조했다.

한전기술도 연중 고점 대비 절반 넘게 급감하며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고, 모회사인 한국전력 역시 고점 대비 30% 가까이 하락했다.

한전KPS를 비롯한 한전 관련 기업 주가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이다. 원전이 축소되면 전력 생산 비용이 늘어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한전KPS 주가 추이.


이 외에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우진, 일진파워 등 원전 관련주들의 주가는 연중 고점 대비 50~70% 하락했다.

정부는 7일‘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방향 권고안’을 공개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40년까지 25~40%로 확대하고, 6억100만톤 수준인 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5억3650만톤으로 감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권고안은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중심으로 하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재확인한 것으로, 국내 에너지 정책이 과도하게 석탄·원자력 중심의 공급 정책에 기울어져 지속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만들어졌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원자력 관련주의 주가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탈원전 정책으로 한전KPS와 한전기술 등의 주가는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발전소를 정비하는 한전KPS와 원전 및 화력발전소를 설계하는 한전기술의 입장에서는 기존에 짓기로한 원전 6기가 취소되면서 장기적인 일감이 빠져나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이번 권고안에는 가격구조 개편을 추진할 방침도 담겨 있어 전기요금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재생에너지를 급격히 확대하게 되면 전기요금 인상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한전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현재 한전 실적 부진의 원인은 각종 비용이 증가하는 부분을 요금에 반영하지 못하는 구조에 있다. 이번 권고안을 통해 전기요금을 인상하게 되면 한전의 비용 부담은 줄어들 수 있다.

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의 주가 역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OCI의 주가는 올 초 고점대비 50% 가량 곤두박질 쳤다. 주력사업인 태양광 부진으로 3분기 실적 부진을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4분기 전망 역시 바닥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태양광 발전 소재인 태양전지용 잉곳과 웨이퍼를 제조 판매하는 웅진에너지의 주가도 올초 고점 대비 80% 넘게 하락했고, 풍력발전기 생산업체인 유니슨과 수소 연료 전지 관련주인 지엠비코리아 등도 올해 고점 대비 50~80% 급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권고안 발표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라는 기존의 방향성을 재확인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기 때문에 부진한 주가에 특별한 변동 요인으로는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재생 에너지 확대가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지 않고,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에게 국내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HMC투자증권 강동진 연구원은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며 "현재 태양광 업체 등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 업체들은 중국 등 글로벌 수요를 두고 글로벌 업체들과 경쟁하고 있어 이번 발표가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허재영 기자] 

허재영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