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지의 눈] K-제약·바이오 열풍…정부가 '걸림돌' 안되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1.21 18:43

김민지

▲김민지 기자

"제약산업이 미래 성장동력 산업이라는 사회적 분위기는 형성됐지만,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은 부족하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지난 17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이다. 원 회장은 2025년 글로벌 매출 1조원의 국산 신약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지금 범정부적인 제약산업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 어느 때보다 정부의 응원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실제로 요즘 해외에서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마냥 잔칫집 분위기는 아니다. 정부가 각종 규제로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제약 강국들과 달리 한국에서는 정부 정책이 걸림돌이란 지적까지 나온다.

벨기에와 스위스 등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 정책과 파격적인 다국적 기업 유치 전략을 앞세워 제약강국이 됐다. 벨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R&D 투자와 정책 지원, 산·학·연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 민·관 협치를 통해 제약강국으로 부상했다. 또 스위스는 연간 1000개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연구 비용의 50%를 지원하고, 매출 대비 1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스위스 전체 산업 가운데 제약·화학부문이 총수출의 42%를 차지할 정도다.

그런데 우리의 상황은 어떤가. 글로벌 신약개발에 최소 1조원 이상, 평균 2조 7000억원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민간 투자와 정부 지원 모두 합친 연간 연구개발비가 2조원에도 채 못 미친다. 이 가운데 정부 지원은 200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반면 노바티스, 로슈 등 글로벌 제약기업은 연간 10조원 안팎의 자금을 연구개발에 쏟고 있다. 제약·바이오업계는 그동안 정부 지원이 전체 연구개발비 투자의 20%는 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런 상황에서도 업계는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도약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노력은 실제 성과로 이어졌다. 제약업계 1위 유한양행은 지난 7일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와 7억8500만 달러(약 8823억원) 규모의 기술 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은 계약금으로 미화 1500만 달러를 받게 되며 개발 및 매출 마일스톤 기술료 미화 7억7000만 달러와 매출에 따른 경상기술료를 받게 된다.

이 같은 성과가 계속 이어지려면, 무엇보다 산업 전체를 고려한 정부의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과 글로벌 수준에 맞는 과감한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기회를 절대 놓쳐서는 안 된다.

김민지 기자 minji@ekn.kr

김민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