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 美에너지부 "韓, 사우디 원전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4.16 14:35

▲UAE바라카 원전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원자력발전소 수주를 위해 한국과 손을 잡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우디에 120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1.4기가와트(GW)급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5개국이 경쟁 중이다.

16일 미국 데일리베스트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 공무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사우디와의 협상을 추진하고 있지만 러시아와 중국에 뒤쳐져 있는 상황"이라며 "사우디에서의 입찰 강화를 위해 ‘팀 USA’ 컨소시엄의 일부 미국 업체들을 한국의 국영 에너지 회사들로 바꿀 것인지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같은 계획이 미국이 사우디가 요구하는 핵무기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전력 생산을 목적으로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속내는 핵무기 개발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슬람 수니파 맹주인 사우디가 핵보유국인 시아파 이란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앞서 로이터는 지난달 27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원자력 기술을 사우디에 이전하는 사업을 조용히 추진하고 있다"며 페리 장관이 이미 7건의 원자력 기술 이전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미 원자력법 ‘810 승인’ 조항에 따르면, 미국 기업은 에너지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만 미국 밖에서 특수 핵물질의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 다만 걸림돌이 있다. 미 원자력법 123조는 원자력 기술 수입국에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허용하기 위해서는 미 정부와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핵분열 물질을 만들 때 필요한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 관계자들은 "사우디 측이 한국의 원자력기술을 도입하게 된다면 미국과 사우디의 미 원자력법 123조에 대한 합의는 필요 없게 된다"며 "미국 회사들은 기술적인 전문성, 보안 그리고 직원 배치와 같은 다른 서비스만 제공할 것이다. 한국인들은 이를 승리 전략으로 제시했다"고 말했다. 실제 한전 김종갑 사장은 올해 초 "한국은 현지 인력 채용, 현지 기업과 협력 등 국산화 부분에서 사우디에 상당히 좋은 인상을 주지 않았나 판단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한국 원자로는 여전히 미국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미국과 사우디가 원자력법 123조 협정에 서명해야 한미 컨소시엄이 작동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국내 원자력업계는 어떤 형태로든 실리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핵무기를 개발하겠다는 목적은 좋아보이지는 않는다"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단독이든 공동이든 진출하는 게 중요하다. 일단은 국내에 공급망을 지켜고 외국에 나가서 한국 원전 기술의 우수성을 알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정부가 실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지금 국내에 신규 원전 건설이 없어 산업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누가 컨소시엄의 주체가 될지보다 터놓고 전략적인 동반자로써 어떻게든 수주하는 방안을 함께 고심해야 한다"며 "UAE 때는 원전 4기 건설 비용 20조원 중에서 우리가 19조원, 미국이 1조원 정도 받았다. 당시에는 협상이 잘 이뤄졌다. 이번에도 그런 협상을 빨리 이끌어 내야 한다"고 말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트럼프는 자국 원자로인 ‘AP1000’을 팔고 싶어하지만 사우디 측은 내심 우리나라가 이웃 국가인 UAE에 수출한 ‘APR1400’ 원자로 도입을 원한다. 무엇보다 웨스팅하우스는 자국에서도 원전 건설 기한을 맞추지 못한 적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UAE에서 건설기한 내에 완공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AP1000이 도입된다면 우리나라 업체는 원전을 짓는 건설회사와 AP1000에 들어가는 부품을 생산하는 두산중공업 정도만 참여하게된다"며 "그러나 APR1400의 경우 모든 기자재를 우리나라 업체가 공급할 수 있게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우디는 올해 말 최종 낙찰 국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지성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