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보 인수가 5000억’ 놓고 사모펀드들 벌써 몸값깎기 돌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4.22 15:21

추가 자본 확충·퇴직연금 리스크 반영 등 앞세워 "너무 비싸다" 분위기 띄워

2019020701010001238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허재영 기자] 롯데손해보험 본입찰에 적격예비후보자들이 거의 참여한 가운데 대부분 사모펀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계에서는 사모펀드가 롯데손보를 인수한 뒤 체질 개선 과정을 거쳐 재매각을 통해 차익을 노릴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하지만 인수가격을 둘러싸고 의견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최종 매각 과정까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 금융계열사 매각주관사인 씨티글로벌증권이 지난 19일 마감한 롯데손보 매각 본입찰에는 지난 2월 선정된 적격예비인수후보(숏리스트)들이 대부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손보 숏리스트에는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JKL파트너스, 대만 푸본그룹 등이 선정됐다.

외국계 금융사인 대만 푸본그룹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에 업계에서는 사모펀드가 보험사를 인수한 뒤 구조조정 등 체질개선 과정을 거쳐 타 손보사나 금융지주에 재매각해 차익을 노릴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롯데손보 본입찰에 참여한 MBK파트너스의 경우 오렌지라이프의 전신인 ING생명을 인수한 뒤 신한금융지주에 재매각해 2조원대의 차익을 거둔 바 있다. 이 과정에서 MBK파트너스는 재매각 전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구조조정을 거쳤다. 또한 최근 1조1000억원을 주고 산 코웨이를 웅진그룹에 1조7000억원으로 되팔면서 막대한 투자차익을 남기기도 했다.

사모펀드의 참여로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문제는 인수가격이다. 롯데그룹은 롯데손보의 매각가격으로 5000억원 가량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인수후보들은 새로운 재무건전성 규제 도입으로 인한 추가 자본 확충 부담과 퇴직연금 리스크 반영 등의 이유로 무리한 금액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손보의 장점은 건실한 퇴직연금 시장이다. 롯데손보의 퇴직연금 자산 규모는 5조9000억원으로 삼성화재에 이어 손해보헙업계 2위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투자수익률은 3.6%를 기록했으며 이차마진율도 2017년 수준인 1.3%였다. 또 지난해 롯데손보는 전년보다 22.3% 늘어난 91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3738억원으로 3.72%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20% 늘어난 1213억원이었다.

하지만 롯데손보를 인수할 경우 추가 자본확충 부담이라는 리스크가 있다. 오는 2022년 도입 예정인 국제회계기준(IFRS17)으로 인해 롯데손보 역시 선제적인 자본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말 지급여력(RBC)비율은 155.4%로 금융감독원의 권고치를 겨우 웃돌았다. 또한 퇴직연금 부문에서 신용리스크 반영 이슈도 있다. 지난해부터 금융감독원은 손해보험사들의 RBC비율에 원리금보장형 퇴직연금의 시장·신용리스크를 반영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35%인 리스크 적용 비율은 올해 6월 70%, 내년 6월엔 100%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이와 같은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사모펀드들이 인수전에 뛰어든 것은 재매각을 통한 이익실현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예상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향후 매각의 성패는 롯데지주와 입찰사들 사이의 매각가격 협상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들이 롯데손보를 인수한 뒤 체질개선을 거쳐 손보사가 필요한 금융지주나 규모를 확대하려는 손보사에 재매각해 차익을 노릴 것이다"라며 "문제는 인수가격인데 롯데지주 측에서 요구하는 5000억원은 사실상 무리수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지주는 공정거래법상 일반주지회사가 금융계열사를 소유할 수 없어 롯데카드와 롯데손보 매각을 추진 중이다. 본입찰 이후 1~2주의 검토과정을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허재영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