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풍력, 조선·해양플랜트 등 산업과 접목하면 성장 가능하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6.16 14:18

-한국풍력산업협회, ‘2019 Global Wind Day(세계 풍력의 날)’ 풍력산업 심포지엄 개최
-한국에너지공단 "경쟁력 확보위해 차세대 기술개발 필요하다"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5184GW 규모 재생에너지 생성될 것


1

▲삼성물산의 온타리오 프로젝트 풍력발전단지. [사진제공=삼성물산]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한국의 풍력산업이 기술축적이 부족하고 가격경쟁력도 낮은 문제 등을 안고 있지만 우리가 경쟁력 있는 연관산업과 접목해 안정적인 내수시장 창출, 핵심기술의 조기 확보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최근 열린 ‘풍력산업 심포지엄’을 통해 풍력산업이 갖는 종합적인 문제점과 관련한 대응방안을 내놓았다. 김상준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부장은 "풍력의 경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차세대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며 "유럽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한국은 83.3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주력 설비용량이 국내기업은 2∼3메가와트(MW)인 반면 해외기업은 3.6∼6MW이다"며 "앞으로는 대형화, 부유식 해상풍력 위주로 시장이 재편 중이기 때문에 우리 기업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가격경쟁력이 한계를 갖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한 "소수풍력터빈 기업과 중소 부품기업군으로 산업구조가 형성돼 있다"며 "이로 인해 내수시장 제약을 받아 기술축적이 부족하고 가격경쟁력도 떨어진다"고 했다. 현재 육상터빈은 MW당 EU가 8억원일 때 국산은 11억원이다. 해상터빈(MW당)도 EU가 16∼18억원이면 국산은 18∼19억원이다. 3MW급 블레이드의 경우 중국이 7억2000만원인데 반해 국산은 8억2000만원이다. 5.5MW급 발전기도 국산은 독일보다 5000만원 높은 4억5000만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경쟁력이 있는 조선, 해양플랜트, ICT 등 연관산업과 접목해야 한다"며 "안정적 내수시장 창출, 핵심기술 조기 확보 등을 통하면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풍력을 친환경에너지를 넘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장은 "대규모 풍력단지를 최적화해야 한다"며 "대규모 단지설계, 시공, O&M 등에 ICT를 적용해 풍력시스템을 고부가치화 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풍력중심으로 일감 창출과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며 "원활한 사업을 위해 원스톱 통합지원 시스템의 제공도 필수다"라고 했다. 복잡하고 장기간이 소요되는 발전사업 인허가 절차에 대한 종합적인 상담과 정보제공을 받아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주민수용성을 강화하려면 "계획입지제도 도입, 발전소 주변지역 범위의 합리화, 주민동의 최소기준 마련 등이 추진되야 한다"고 덧붙였다.

뿐아니라 "15년 이상 된 노후설비를 용량 증설이 가능한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는 ‘리파워링’ 프로젝트도 필요하다"며 "리파워링은 1GW 이상의 시장을 창출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기반의 혁신생태계 조성이 필수"라며 "재생에너지 산업기반이 있거나 대규모사업이 예정된 지역에 혁신인프라를 보강해 지역별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2050년까지 5184기가와트(GW)의 새로운 재생에너지 용량이 전 세계적으로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중 육상풍력과 해상풍력은 각각 28%와 8%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