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에너지] 사우디 원전 수주 어디까지 왔나...한·미 컨소시엄 가능성 대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7.02 16:01

文,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회담 갖고 원전 기술 협력 방안 등 의견 나눠

사우디, 2030년까지 약 22조~34조원 투입해 1400MW급 원전 2기 건설

한전 비롯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5개국이 예비사업자 경쟁 중

원자력계 "이란 핵 등 안보문제로 美 앞서가는 가운데 韓 컨소시엄 구성 유력"

▲문재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부총리가 26일 신라호텔에서 열린 ‘에쓰오일 복합 석유화학시설 준공기념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지난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방한으로 사우디 원자력발전소 수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한·미 컨소시엄 구성 가능성까지 대두되면서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 사우디는 탈석유 에너지 계획 기조 아래 2030년까지 200억~300억달러(약 22조~34조원)를 투입해 1400메가와트(㎿)급 원전 2기를 건설하기로 하고 예비사업자 선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국전력을 중심으로 한 국내 기업들은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과 사우디 원전사업 수주를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문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의 회담으로 한국의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우디 측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의 사우디 상용원전 사업 입찰 참가에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 원자력 기술과 안전 등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을 언급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빈살만 왕세자와 함께 방한한 칼리드 알팔리 사우디 에너지 장관이 ‘사우디 대형 원전 수주 절차가 진행 중이니 한국도 준비를 잘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 사우디 속내는 핵개발, 기술 제공 가능한 미국이 유리...韓, 미국과 컨소시엄 고려

전문가들은 사우디 정부가 전력 생산을 목적으로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속내는 핵무기 개발이기 때문에 관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미국이 우세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사우디는 중동 내 미국의 대표적인 우방국이다. 실제 빈 살만 왕세자는 지난해 CBS와의 인터뷰에서 경쟁국인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한다면 사우디도 핵무기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여기에 지난 1일 이란이 국제사회와의 핵 합의에서 설정된 저농축 우라늄(LEU)의 저장 한도를 초과한 사실이 알려지며 이 같은 주장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여기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에 원자력 기술을 판매할 수 있도록 6건의 인가를 비밀리에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은 사우디와 최종 합의가 이뤄지기 전에 원자력에 관한 예비 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미국과 공동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경제와의 통화에서 "사우디 원전 수주에 관해 미국과 컨소시엄 구축에 대해 물밑에서 협의를 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원론적으로 같이 진출하면 좋지 않겠냐는 의사확인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최종사업자로 한국이 선정되든, 미국이 선정되든, 공동으로 선정되든 상관없이 미국과 컨소시엄 구성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원자력업계는 어떤 형태로든 실리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UAE장기정비계약 처럼 계약규모가 크게 줄어드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지금 국내에 신규 원전 건설이 없어 산업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실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단독이든 공동이든 진출하는 게 중요하다. 일단은 국내에 공급망을 지키고 외국에 나가서 한국 원전 기술의 우수성을 알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UAE 때는 원전 4기 건설 비용 20조원 중에서 우리가 19조원, 미국이 1조원 정도 받았다. 당시에는 협상이 잘 이뤄졌다. 이번에도 그런 협상을 빨리 이끌어 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사우디는 연말 최종 낙찰 국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사우디원전지원센터 관계자는 "예비사업자 발표 지연에 대해 사우디 측에서 공식적인 언급은 없었다"며 "일단은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지성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