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중국 최대 검색 포털사이트 바이두가 미국으로부터 무인 자동차 도로주행 허가를 받았다. 자율주행차 개발에 있어 구글과 테슬라의 경쟁자가 된 셈이다.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는 미국 반도체 제조사 엔비디아(Nvidia)와 파트너십을 맺고 AI를 이용한 자율주행차 플랫폼을 함께 개발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 플랫폼은 클라우드 기반의 고화질 지도, 도로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반응하는 능력 등을 갖추게 된다.
양사는 이를 위해 바이두의 클라우드 플랫폼과 지도 기술을 엔비디아의 자율주행 컴퓨팅 플랫폼과 결합하기로 했다.
바이두는 또 이날 미국 캘리포니아주로부터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승인받았다. 바이두는 조만간 캘리포니아 도로에서 시험주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바이두는 작년 12월 중국에서 자체 자율주행 시스템을 장착한 무인차 도로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2018년 소형차 형태로 상업용 자율주행차를 런칭한 뒤 2020년까지 대량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캘리포니아에서는 테슬라와 포드,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등이 자율주행차를 시험 중이다.
바이두는 이미 중국에서는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하고 있다. 5년 안에 자율주행차를 대량 생산하는 것이 바이두의 목표다.
일각에서 제기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와 관련해선 바이두 측은 "자사 자동차에 있는 센서는 테슬라의 것보다 우수하다"며 "우리의 차로 같은 사고가 일어나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두는 스피커 제조사 하만과 함께 아마존의 에코 같은 인공지능 기기를 만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에코는 음성을 인식하는 디지털 비서 역할을 한다. 가령 에코를 통해 제네시스 차량의 시동을 켜거나 에어컨을 가동할 수도 있다.
HSBC는 이날 투자노트에 "우리의 시각에서 바이두는 중국의 인공지능(AI) 선두주자이고 글로벌 대형 인터넷 업계에서 엘리트 그룹 중 하나"라며 "바이두가 AI를 통해 강화할 수 있는 모든 걸 자율주행 기술에 접목시킬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