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삼성 반대에도 ‘분리공시제’ 도입하려는 까닭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7.06.12 16:44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장 사장이 스페인 바르셀로나 멜리아 바르셀로나 사리아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이수일 기자] LG전자가 리베이트 경쟁에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반대에도 ‘분리공시제’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는 주장이 IT업계로부터 나왔다.

LG전자 측이 "일부 소비자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을 막자는 취지에서 분리공시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지만 삼성전자와의 자금력 격차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 IT업계의 판단이다.

IT업계 관계자는 "LG전자가 삼성전자의 리베이트 공세를 막아내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라며 "분리공시제가 도입될 경우 양사 리베이트 격차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5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014년 10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통신사 대리점에 직접 투입한 리베이트는 2458억 원으로 같은 기간 동안 LG전자(660억 원)의 6배에 달했다.

특히 LG전자가 삼성전자의 대대적인 마케팅에 밀리며 G6의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IT업계의 중론이다.

G6 출시 뒤 갤럭시S7의 실구매가가 10만 원 아래로 떨어졌고, 2015년 가을에 나온 구형 모델인 갤럭시노트5는 사실상 ‘공짜폰’이 됐다.

여기에 삼성전자가 상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8 시리즈 출시 전부터 마케팅에 열을 올리면서 G6의 판매량은 출시 초반 하루 1만 대 이상에서 순식간에 반토막이 났다.

리베이트가 국내 이동통신시장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보니 삼성전자의 이 같은 견제가 성공적이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국내 통신산업 유통망 단말기 보조금 형성 구조. (이미지=하나금융)


때문에 분리공시제가 도입될 경우 제조사가 유통망에게 제공하는 판매 장려금까지 공개되는 만큼 삼성전자와의 장려금 격차를 줄여 경쟁하겠다는 것이 핵심 논리다.

이럴 경우 삼성전자가 LG전자 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증권업계는 추정했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분리공시제가 도입될 경우 휴대폰 가격이 떨어지고 각 모델별 실제 휴대폰 판매가격이 소비자들에게 노출돼 가격경쟁이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도 "국내 점유율이 높은 삼성전자의 타격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다 보니 LG전자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 이전인 2014년부터 분리공시제 도입을 찬성했고, 삼성전자는 "마케팅 전략이 노출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통 업계는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유통점의 마진이 공개되는 만큼 특정 점포에 장려금을 몰아주기도 쉽지 않고, 유통점의 판매 전략이 한정적일 수 있다는 입장을 내보이고 있다.

유통점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소비자들이 휴대폰 출고가가 떨어진다는 점에서 찬성하고 있지만 유통점에선 반발이 크다.

을지로에 위치한 유통점 관계자는 "분리공시제 도입 뒤 모든 것이 투명하게 공개될 경우 제조사가 주는 장려금 등이 어딜 가나 비슷해질 수 있다"며 "휴대폰을 많이 판매하는 점포일수록 장려금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분리공시제를 도입하려면 LG전자가 모든 스마트폰의 부품 원가를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수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