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 ①]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탄력 받는 '탄소없는 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7.06.28 14:01

[탄소 저감 기획] ‘중국 동탄 프로젝트에서 해답을 구하다’

▲탄소제로 섬을 지향하고 있는 제주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계획이다. 사진은 도 동복, 북촌 풍력발전단지.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정부는 2015년 12월 신기후변화체제 출범에 따라 저탄소경제를 지향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목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1700만톤 감축이다. 이를 위해 10대 프래그십 프로젝트를 발굴해 공격적으로 탄소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지자체들의 저탄소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있다.

제주는 탄소프리 아일랜드를 선언해 전기차 보급 등 탄소저감 사업에 시동을 걸었고, 대구 역시 태양광발전 전기차 확산 등 세부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본지는 저탄소시대를 맞아 도시 탄소 저감 기획의 일환으로 ‘중국 동탄 프로젝트에서 해답을 구하다’라는 제목으로 6월부터 8월까지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이 기획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제작됐다)


① 탄소제로 섬을 꿈꾸는 제주

-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선언한 제주
-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11.5% 증가…전기차 보급속도 빨라
- 자동차 증가 따른 교통대란·해안환경 훼손·재산권 침해 논란도


▲내년 가동을 시작하는 탐라해상풍력발전소.



제주도는 2030년까지 탄소 제로를 목표로 도내 모든 차량을 전기 자동차로, 전력을 모두 신재생에너지로 변환·공급하겠다는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을 추진하고 있다.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 2030’의 핵심은 크게 3가지다.

먼저 전력공급과 관련해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1632MW로 늘려 제주 전력수요의 50%를 대체하고, 2030년까지 발전 용량을 4311MW로 확대해 100%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친환경 에너지자립섬을 구축하는 것이다. 삼다도의 풍부한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으로 2350MW를 생산하고, 태양광발전으로 1411MW, 나머지는 바이오·수력발전 등이 담당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제주도에서 운행하는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것이다. 올해 공공부문 교체를 마치고, 2020년까지 대중교통 교체, 2030년까지 전 차량 보급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다.

마지막으로 제주 전역을 스마트그리드 도시로 조성하는 것이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무려 12%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에 있는 태양광발전.


제주도의 탄소제로 섬(카본프리 아일랜드)에 대한 의지는 강하다. 2012년 카본프리 아일랜드의 기본 계획을 수립한 이후 우근민 지사는 가파도를 대상으로 카본프리 아일랜드 모델을 만들고,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추진, 전기자동차 시범도시 구축, 해상풍력 2GW 개발, 제주에너지공사 설립 등을 실천했다. 이어 원희룡 지사는 2015년 5월 LG·한국전력과 연계해 ‘글로벌 에코 플랫폼 제주’ 업무협약을 맺었다. 핵심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기차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1300㎿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만들고, 520㎿ 연료전지 발전도입을 함께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지난해에는 도민소득으로 이어지는 태양광발전 활성화 계획을 수립했다.

현재 제주도는 국내에서 전기차 운행이 가장 최적화된 장소다. 공공장소는 물론이고 대형마트, 렌트카 업체 등 곳곳에 5600여기의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돼 있다. 2030년까지 충전소를 7만6000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특히 제주는 둘레가 176km, 동서 73km, 남북 41km이기 때문에 1회 충전으로 일주가 가능하다.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량도 늘었다. 108기의 풍력발전기를 돌려 237MW를 생산하고 있다. 대표적인 풍력발전 생산단지로는 구좌읍 행원풍력(15기)·동북풍력(15기), 성산읍 성산풍력(10기)·삼달풍력(11기), 가시리풍력(10기), 김녕풍력(10기) 등이 있다.

내년 탐라해상풍력이 가동되면 발전량이 대폭 늘어난다. 육상풍력이 점차 포화상태로 접어들면서 해상풍력으로 발전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371개소의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해 매년 105MW를 생산하고 있다.

실제 전력거래소 분석 결과, 2012년 제주지역 전체 전력생산량 중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4.9%였다가 지난해 두배가 넘는 11.5%로 확대됐다. 반면 같은 기간 제주도내 화력발전 생산량은 11.2% 감소했다.

▲서귀포시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

▲전기차를 운행중인 원희룡 제주지사.

▲풍력발전기



◇ 전력수요 증가 신재생에너지 제약조건 등 걸림돌

하지만 최근 제주지역 상주인구의 증가와 관광객 유입으로 전체 전력소비량이 약 22% 증가하면서 해저연계선을 통한 육지로부터의 전기 공급의존도는 더 높아졌다. 풍력과 태양광 발전 설비가 늘어난 만큼 재생가능에너지 생산량도 늘어났지만, 전력수요량 증가를 따라잡지 못한 것이다.

전기차 보급에 대한 실효성 논란도 있다. 전기차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경유나 휘발유를 쓰는 내연기관 차량이 줄지 않아 교통난 가중은 물론 탄소 저감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안창남 제주도의회 의원은 "전기차를 민간에 보급한 만큼 내연기관 차량도 줄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전기차가 세컨드 차가 되면서 도로는 자동차 홍수시대가 됐다. 탄소 제로섬을 추진한다고 하지만 보급대수만 늘어났을 뿐 효과가 없다"고 질타했다.

또 풍력과 태양광발전에 대한 걸림돌도 많다. 과거 제주도와 업무협약을 맺었던 대정과 한림 해상풍력사업은 경제성 부족과 민원 문제로 인해 아직 사업허가도 못 받았다. 제주도 연근해는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을 건설하면 어민들의 생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풍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관광산업의 주요한 자원인 해안경관 훼손 문제와 제주도에만 사는 멸종위기보호종인 남방큰돌고래의 서식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 신재생에너지사업 한 관계자는 "과학 기술의 발전속도에 비해 에너지 사업, 특히 발전 사업의 발전 속도는 더디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은 하고 있지만 제주도의 늘어나는 전력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해상풍력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 대비 경제성이 떨어져 선뜻 민간업체들이 뛰어들기 주저한다. 정부의 확실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행히 문재인 정부는 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원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로 인해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에 쏠려있던 국내 에너지 산업의 무게중심은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이동할 전망이다.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정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