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주 맞는 롯데 신동빈...‘뉴롯데’ 초긴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7.12.17 13:34
운명의 주 맞은 롯데 ‘신동빈’. ‘뉴롯데’ 초긴장

▲롯데 신동빈 회장과 롯데지주


롯데가 지주회사 체제로 출발은 했지만 걸림돌이 너무 많은 상황에 처했다.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으며 ‘롯데지주 주식회사’를 공식 출범하며 신동빈 회장의 원톱 체제를 강화하고 나섰지만 경영비리 혐의로 징역 10년 구형, 국정농단 사건 관련 재판에서 징역 4년을 구형받으면서 한치 앞을 가늠하기 힘들어졌다. 이에 해외사업과 지주사 체제 완성, 한일 롯데 통합경영 등에 비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재계 및 롯데에 따르면 신 회장과 신격호 총괄회장,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서미경 씨 등 롯데 총수일가의 경영비리 혐의에 대한 1심 선고공판이 오는 22일 서울지방법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결심공판에서 이들은 각각 징역 10년(신동빈·신격호), 7년(신영자·서미경), 5년(신동주)을 구형받았다. 또한 채정병 전 롯데그룹 정책본부 지원실장과 황각규 전 운영실장, 소진세 전 대외협력단장, 강현구 전 롯데홈쇼핑 사장 등 주요 전문경영인들도 각각 징역 5년을 구형받아 같은 날 선고가 이뤄진다.

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징역 12년 구형에 1심서 실형 5년을 선고 받은 전례가 있어 신 회장 역시 실형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신 회장에게 실형이 선고될 경우 ‘뉴 롯데’의 행보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분석이다.

최근 롯데는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다. 롯데케미칼이 40억 달러(약 4조 4000억 원)를 투자해 인도네시아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유화단지 건설 사업이 대표적이다. 대규모 자금투자나 인수·합병(M&A)이 수반되는 해외사업의 특성상 의사결정권을 가진 총수의 유고(有故)는 큰 약점이 될 수밖에 없다. 신 회장이 그동안 공을 들여 쌓아온 현지 정·재계 인맥을 활용하기 어려워진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주사 체제 완성도 가시밭길이다. 롯데그룹의 지주사 체제는 식품과 유통 부문의 42개 계열사를 1차로 편입한 롯데지주에 그룹의 또 다른 축인 관광·화학 계열사를 추가로 편입해야 비로소 완성된다.

하지만 신 회장이 법정 구속될 경우 식품·유통 부문 이외 계열사들의 중간지주회사격인 호텔롯데의 상장 추진은 당분간 불가능할 전망이다.

호텔롯데는 주요 그룹 계열사 지분을 확보한 지주회사 역할을 해온 곳으로 한국과 일본롯데와의 연결 고리가 되고 있다. 현재 호텔롯데는 90여개의 국내외 롯데 계열사 지분을 보유 중이며, 롯데물산·롯데케미칼·롯데알미늄·롯데건설 등을 순환출자 형식으로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호텔롯데 지분은 롯데홀딩스(19.07%), 광윤사(5.45%), 패미리(2.11%), L투자회사 11곳(74.76%) 등 99% 이상을 일본 회사가 갖고 있다.

롯데는 호텔롯데의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일본계 주주의 지분율을 65%대까지 낮추며 분리할 계획이지만 향후 재판 결과 여부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롯데홀딩스 대표이사직에선 물러나는 수순을 밟을 가능성도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본의 기업문화는 ‘도덕적 해이’에 민감하게 반응, 총수가 불법을 저지를 경우 대표이사직을 내놓는 것이 관례다. 신 회장의 경우 롯데홀딩스 등 일본 계열사 경영권을 장악하고 있지만 대표에서 물러나게 될 경우 향후 경영권 분쟁에까지 불씨가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일본롯데홀딩스는 신 회장과 쓰쿠다 다카유키(佃孝之) 사장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데, 이 경우 일본롯데홀딩스 이사회의 실권은 다카유키 사장을 비롯한 일본인들이 장악하게 된다.

일본롯데의 지주사인 일본롯데홀딩스는 광윤사(28.1%), 종업원지주회(27.8%), 관계사(20.1%), 임원지주회(6%) 등이 주요 주주이며 신 회장의 지분율은 1.4%에 불과하다.

아울러 사드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사업에 대한 판단 역시 늦어지게 되며 피해는 더 늘어나게 된다.

재계 관계자는 "뉴롯데가 투명 경영의 기치로 새롭게 출발했지만 향후 남은 과제들의 경우 신 회장의 리더십이 필요한 사안들이 많다"며 "우리나라 경제를 위한 재판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최용선 기자]

최용선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