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후임, ‘관료냐 민간이냐’ 재점화…"인력풀 넓혀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3.18 10:34
최흥식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하나은행 채용비리 연루 의혹을 받고 12일 사의를 밝혔다. 사진은 최 원장이 1월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인사하는 모습.(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사퇴한 후 후임이 누구인지에 대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민간 출신인 최 원장이 갑작스럽게 불명예 사퇴하면서 후임 원장 물망에 오르는 인물이 관료 출신인지 민간 출신인지를 놓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흥식 금감원장이 물러난 후 후임 원장 하마평에 주로 관료 출신 인물들이 거론되고 있다. 현재 금감원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을 비롯해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등이다. 민간 출신 인물로는 이성규 유암코 사장, 심인숙 중앙대 교수, 김기홍 JB자산운용 대표 등이 오르내린다. 정계 출신으로는 김기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있다.

최 원장의 사퇴가 채용청탁 의혹과 연계된 데다 6개월이라는 최단 재임 기간을 기록하면서 금융권에서는 차기 원장 선임은 더욱 신중히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지금 하마평에 나온 인물들은 금감원 내 인물이거나 예전에도 거론됐던 인물들"이라며 "전문성과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춘 다양한 인물들을 신중히 검토해 뽑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관료 출신이냐, 민간 출신이냐를 두고도 의견이 팽팽하다. 먼저 최 원장이 금감원 첫 민간 출신 인사였는데, 금융사들과의 대치 끝에 불명예 사퇴하면서 민간 출신에 대한 기대가 떨어졌다는 의견이 있다. 그래서 새 원장은 관료 출신 인물로 선임하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요구가 나온다.

반면 이번 사퇴는 민간의 문제가 아니라 인물의 문제기 때문에, 민간 출신이라는 점에 불신을 가지는 것이 섣부르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금융개혁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료 출신 인물을 다시 자리에 앉힌다면 개혁적 움직임이 소극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란 우려도 크다. 한 금융권의 관계자는 "관료 출신의 경우 오랫동안 기존 관행에 길들여져 있어 과감한 개혁을 단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노동조합은 금감원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관료 문화에서 자유로운 인물을 선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15일 낸 성명서에서 "새 원장은 금융관료와 금융산업으로부터 자유로운 인사가 임명돼야 한다"며 "금융산업 지원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충실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청와대가 차기 금감원장을 선임하기까지 한 달 넘게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원장은 "현 정부의 가장 큰 문제는 금융권 인재에 대한 인력풀이 좁다는 점"이라며 "민간 인물을 뽑더라도 겉의 이력만 볼 것이 아니라 그동안의 전문성, 경험 등을 깊이 있게 살펴야 거대 조직인 금융 감독기관을 잘 아우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