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태양광 100% 주민찬성…결국 '사람'이 답이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5.20 13:07
KakaoTalk_20170806_134841284

▲에너지경제신문 에너지부 이현정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전 정권부터 우리나라를 휩쓴 단어 중 하나는 소통이다. 아귀가 맞지 않는 모양새로 소통은 부재했다. 그 상태로 욕심까지 더해지면 상황은 걷잡을 수 없어진다. 박근혜, 최순실 사건은 우리에게 이 같은 교훈을 남겼다. 태양광을 설치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주민갈등이 심화된 곳엔 개인의 욕심만 있었고 소통은 없었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 철원군의 ‘철원 두루미 태양광 발전소’ 현장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주민 100% 지지를 끌어냈기 때문이다. ‘행복산촌텃골마을’ 64가구 총 155명 주민 전원이 찬성해 눈길을 끈다. 돈의 논리로만 상황이 해결된 것일까. 주민들을 만나본 결과 그렇지 않았다.

마을의 김도용 이장은 주민 모두를 참여시키기 위해 마을회의를 1년에 50회 넘게 했다. 업체는 흔히 마을 대표자 몇 명만 만나며 뒷돈을 건네는 악습이 있다. 김 이장은 그런 접근을 차단했다. 그럼에도 그가 22억 원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는 뒷돈을 받지 않았음을 직접 증명해 나갔다. 주민들 간 불신이 생기면 사업이 진행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100% 주민참여를 이끌어낸 것도 그의 말을 빌자면 "사심을 없애 가능했던 일"이라는 것이다. 김 이장은 업체 선별작업에도 신중했다. 태양광 발전사업지의 생태계는 일반적으로 분양업체가 교란시킨다. 부동산의 ‘떴다방’처럼 분양을 하고 떠나버리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분양업체는 마을주민에겐 높은 수익을 보장한다며 공수표를 날린다. 투자자들에겐 미허가사항조차 속여 분양하기 바쁘다. 사업이 불발된 지역을 보면 분양업체와 주민 사이 그 같은 갈등이 존재했다.

사업자인 레즐러도 타업체와 달리 마을과 융합됐다. 주민 중 한명이라도 의문을 제기하면 그것을 풀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밤에도 마을을 찾아 설명하는 등 주민들과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일시적 발전기금 형식이 아닌 20년 지속 가능한 상생모델이 만들어졌다. 그 외 주민 지분참여, 36개 일자리만들기, 스마트빌리지 조성 등도 협의됐다.

행복산촌텃골마을의 태양광 설치 성공은 사람에 있었다. 마음으로 다가온 사업자와 주민들 간 화합을 이끌어낸 이장, 자신의 일처럼 회의에 참여한 주민까지 기자의 눈엔 진심이 이뤄낸 성과로 보였다. 김효정 철원군청 경제진흥과 에너지산업 주무관은 "이번 사업은 업체가 주민의 요구를 수용해 마찰이 사라진 특별한 사례"라고 표현했다. 태양광 난개발로 갈등이 심화된 곳곳에서 이 같은 ‘행복산촌텃골마을’의 진심이 피어나길 기대해본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