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후폭풍...‘금융권 대북 러시’ 이상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5.25 17:27

은행권 "계획대로 진행"



[에너지경제신문 조아라 기자] 도날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취소발언’으로 북미정상회담이 무산 위기에 처한 가운데 향후 금융권의 대북 판로 개척 전망을 둘러싸고 이목이 집중된다. 은행권은 공식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지만, 흘러나오는 뒷말은 그렇지 않다. ‘대북 정책’이 그만큼 조심스럽고 중대한 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은행권 "끄떡없다"


그동안 우리은행, 신한금융지주,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등은 향후 대북제재가 완화될 경우를 대비해 적극적으로 대북 사업을 정비해 왔다.

이달 초 ‘남북 금융협력 TFT’ 출범시키며 빠른 행보를 보인 우리은행 측은 일단 남북관계 추이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아직은 계획을 세우는 단계라 기존 계획을 철수 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잠시 급변하는 상황을 주시하는 정도"라고 전했다.

하나은행 측은 ‘남북 하나로 금융사업 준비단(가칭)’ 신설은 예정대로 진행하며 중국 하나은행과 지린은행, 연변대 협업 구상도 이상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이달 안에 지주사 중심으로 남북경협 협의제를 구성하고, 금강산 관광이 재개되면 수목 표찰 사업 진행을 검토키로 한 신한금융지주 측도 대북 판로 개척에 영향이 없다고 입장을 확고히 했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대북 사업은 주요 연구과제 중 하나로 북미정상회담이 취소됐다고 해서 연기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북한경제연구센터를 신설하는 등 대북 사업을 준비해온 IBK기업은행은 "실무진 단계에서 대책 논의는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연구소 "대북제재 완화가 관건"

반면 은행권 대북전담팀 연구소 일각에서 북미정상회담의 대북제재 내용이 대북 판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주요 시중은행 연구소 관계자는 "추가 인력이나 예산은 정지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의견을 내놨다.

그는 "대북제재 내용에 따라 사업의 내용과 범위가 결정된다"며 "북미정상회담에서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유엔안보리는 북한에 석유공급을 90% 금지하고, 대북 수출 금지 대상을 늘이는 등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전문가들은 북미정상회담에서 대북재제가 완화되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대북 사업도 활발해질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 내용이 대북 진출 사업은 물론 북한 경제의 숨통을 쥔 셈이다.

그는 "북미정상회담에서 UN 대북제제가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따라 국내 대북정책이 정해지고, 은행은 정책에 맞는 후속조치를 취한다"고 말했다.


◇ 전문가 "극도로 예민한 문제"

대북 사업에 대해 조심스럽기는 전문가도 마찬가지다. 역시 익명을 요구한 한 정부기관 북한경제 전문가는 "은행권은 대북 문제에 대해 매우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면서 "말 한마디가 남북 관계에 어떤 미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일선 은행에서 국제 경제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정책에 대해 함부로 의견을 내놓을 수 없다는 얘기다.

또 다른 대북 전문가는 은행권의 "북미회담이 진행되고 정부 협의가 마무리 될 때까지 대북 관련 내용을 언론에 공개하지 말라는 지침이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은행권은 정부의 눈치를 보며 정부 방침을 기다리는 입장이고 은행의 모든 방침은 남북, 그리고 미국의 진행에 맞춰 진행할 수 밖에 없다"라며 "적십자가 인도적인 차원에서 이해관계 없이 대북 사업을 진행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면 이처럼 조심스러운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다시 대북 사업 가능성이 열린다는 데 대해서는 의견을 같이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공 발언에 북한이 반발하지 않고 전례 없이 정중하고 신속하게 대응한 것도 대북사업 청신호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위기로 보일 수 있지만 전과 같은 전면 폐쇄는 없을 것으로 본다. 지금은 국제 정세의 추이를 지켜보는 입장이지만 결국 대북 판로는 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아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