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무더위'...전력 수급, 이번주는 문제 없을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7.23 12:47
-전력 수요, 지난 주에만 역대 최고 기록 네 번이나 경신

-원전 가동 늘려 예비율 10% 이상 유지

-산업부 "휴가 직전 수요가 몰리는 이번 주가 최대 고비될 것"

-전문가들 "정부가 전력수급 안정적이라고 주장하기 위해 어거지로 부하관리"

▲무더위에 여름철 최대전력수요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의 한 건물에 에어컨 실외기가 걸려있다.(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폭염…폭염…또 폭염…’

지난 주 한반도는 역사상 최고 수준의 더위를 경험했다. 기상청은 23일 ‘염소 뿔도 녹는다’는 ‘대서(大暑)’인 오늘을 비롯해 한 주 내내 최고기온이 37도까지 치솟을 것이라고 예보했다. 전력당국은 전력수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연이은 무더위에 지난 16일부터 전력수요가 급증했다. 최대부하가 8630만 킬로와트(kW)를 기록했다. 역대 하계 최대부하인 8518만kW를 경신한 이래 지속적으로 8600만kW 이상의 부하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주 최대 전력수요는 네 차례나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고 20일 오후 한때 예비 전력 수준은 10.7%까지 떨어졌다.

이덕환 에너지정책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 협의회 대표는 "8차 전력수급계획 상 전력수요예측를 보면 이미 지난 1월 잘못된 수치를 내놓았다"며 "정부는 여전히 탈원전으로 전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만 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도 전력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 전기소비는 갈수록 더 늘어날 것"이라며 "이번 여름이 고비"라고 진단했다.

산업부는 관계자는 "최대 전력 수요가 8830만kW(올 여름 최대 예측치) 수준까지 상승할 전망인데 공급능력 확충으로 전력예비력 1000만kW 이상, 전력예비율 11% 이상으로 전력수급은 안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러한 전력예비율은 대형발전기 불시고장 등 돌발상황에도 수급관리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수준이며 본격 휴가철이 시작되는 27일 오후부터는 전력수요가 조금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산업부는 지난 5일 발표한 올 여름 전력수급대책에서 8월 2~3째주에 최대전력부하가 8830만kW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원전, 석탄, 가스 등 발전기(5기)와 송변전설비 보강이 순차적으로 마무리되면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약 250만kW 이상의 공급능력이 추가확충돼 8월에도 안정적 전력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2일 "현재 정지 중인 한빛 3호기와 한울 2호기를 전력 피크 기간(8월 2∼3주차) 이전에 재가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빛 1호기와 한울 1호기의 계획 예방정비 착수 시기를 전력 피크 기간 이후로 조정하기로 했다. 최근 계획 예방정비를 마친 한울 4호기는 지난 21일부터 다시 가동을 시작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전력 피크 기간 내 총 5개 원전, 500만㎾의 추가 전력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공급능력확충과 함께 수요관리로 전력수급 안정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기업이 피크 시간에 전기 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보상해주는 수요감축요청(DR)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DR은 예비력이 일정수준(1000만kW) 이하로 낮아지는 상황에서 전력수요 급증(8830만kW 초과)이 예상되는 경우 실시된다. 지난 20일 공급예비력은 942만㎾, 수요는 8808만㎾였다. 이번 주에 수요가 조금만 더 늘면 발령 기준이 충족된다. 현재 DR에 참여 중인 기업이 감축 요청에 응하면 최대 400만㎾의 수요를 감축할 수 있다. 다만 지난 겨울 한파에 수요감축 요청을 10번이나 시행해 제도 남발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이덕환 대표는 "수요관리라는 것은 말 그대로 안 써도 되는, 낭비되는 전력을 줄이자는 것"이라며 "기업들의 생산활동에 필수 전력사용에 제동을 걸면서까지 수요감축지시를 내리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또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과 함께 국민참여형 절전운동을 통해 에너지절약 문화 확산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공공기관은 △노타이 등 복장 간소화 △실내온도(26∼28도) 준수 △조명 소등 △LED 조명 보급(80%이상) 등 에너지 절약에 나서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대책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범진 한국원자력학회 부회장은 "절약이란 사치품 소비를 줄이는 것이지 필수품을 아끼는 게 아니다"라며 "5000원짜리 커피를 마시는 시대다. 이 커피와 폭염 속에서 가동하는 에어컨 중 무엇이 더 필수품인가? 국민 삶의 질을 올린다고 최저임금은 올리면서 전기세를 아끼기 위해 더위와 추위를 참으며 일하게 해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는 게 과연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전지성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