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한국과 미국간 실업률 격차 0.1%P로 좁혀져
연간 성장률 3년 만에 역전 확실시..금리격차도 확대
![]() |
▲지난 8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알림 1관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 구직자들이 채용상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
우리나라의 고용 지표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으면서 미국과의 실업률 격차가 20여년 만에 역전 위기에 놓였다.
한미 간 역전된 금리 차가 1%포인트를 넘어섰고, 한국의 고용 상황이 더욱 악화하면 내년에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추정치를 밑돌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30일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과 미국의 실업률은 각각 3.8%, 3.9%로 그 격차가 0.1%포인트로 좁혀졌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따져보면 한국은 3.83%, 미국은 3.90%로 차이가 0.07%포인트로 줄어든다.
양국 간 실업률 격차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여파로 한미 실업률이 역전된 1998년 1분기∼2001년 1분기 이후 약 1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만약 양국의 실업률이 역전되면 이는 20년여 만이 된다.
한국의 15∼24세 청년실업률은 이미 2016년 미국을 16년 만에 넘어선 뒤 격차가 더 커지고 있다.
2분기 한국의 15∼24세 실업률은 10.2%로 미국(8.7%)보다 1.5%포인트 더 높다.
올해 2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미국에 추월당한 데 이어 연간 성장률도 3년 만에 역전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OECD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계절조정)은 1분기보다 0.6%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미국은 1.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은 한국이 1.0%로 미국(0.5%)보다 높았는데 2분기에 역전당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현지시간)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연 2.8%에서 3.1%로 상향조정한 반면, 한국은행은 앞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9%로 낮췄다. 양국 중앙은행 전망대로라면 올해 한국과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2015년 이후 3년 만에 역전되고, 역전 폭은 외환위기 이래 가장 커진다.
한국과 미국의 성장률이 역전되는 것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한국 -5.5%, 미국 4.5%)과 2015년(한국 2.8%, 미국 2.9%) 뿐이었을 정도로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연준은 26일 정책금리도 인상하면서 한국(연 1.50%)과 미국(연 2.00~2.25%)의 정책금리 역전 폭은 0.75%포인트로 커졌다. 연준이 12월에 한 차례 더 정책금리를 인상하면 양국의 금리역전 폭은 연말에는 1%포인트로 확대된다.
앞으로 한국의 고용 상황이 더욱 악화하고 한미 간 정책금리 차가 커지면 주요 경제지표가 일제히 역전되는 데 더해 내년에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추정치(2.8∼2.9%)를 밑돌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 20일 2019년 국내외경제전망에서 내년 한국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하향 조정했다. 반도체 경기가 둔화되고 고용, 출산율마저 부진하면서 향후 우리나라 경기의 하향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해외 투자은행(IB) 중 골드만삭스와 JP모건, HSBC, 노무라, 바클레이즈 등은 내년 한국경제성장률을 2.7%로 보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