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수상한 폴 로머(62) 뉴욕대 교수가 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뉴욕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 |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폴 로머(62) 미국 뉴욕대 교수는 한국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해 "더 많은 기술습득으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로머 교수는 이날 뉴욕 맨해튼 뉴욕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소득주도성장의 경제적 효과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로머 교수는 "사람들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더 교육을 받게 되고, 새로운 것을 배우기 마련"이라며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하고 누가 더 기술을 배워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환경이 필요한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싱가포르 사례를 주의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면서 "싱가포르도 소득주도성장을 시도해봤는데 절반의(mixed) 성공을 거뒀다"고도 전했다.
로머 교수는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매우 훌륭하다"면서도 "다만 업무 기술을 계속 향상하는 문제에 대해 모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는 근로자의 소득을 늘려 소비를 촉진하고 성장을 견인하는 소득주도성장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습득’이라는 또 다른 변수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로머 교수는 기술 진보와 아이디어 축적이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이른바 ‘내생적 성장’(Endogenous Growth) 이론으로 유명하다. 그는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조해왔다. 2016년 10월부터 지난 1월까지 세계은행(WB)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수석 부총재를 지냈다.
로머 교수는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서 "우리가 알기 어려운 이유로 또다시 금융위기가 올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과거 위기에서 배운 교훈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 여부"라고 설명했다.
이어 로머 교수는 "경제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불평등을 비롯한 정치의 안정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머 교수는 윌리엄 노드하우스(77) 예일대 교수와 함께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경제모형·이론 개발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경제와 기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양적 모델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