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설비 10년간 125배 증가…2040년 폐모듈 8만5220톤 발생
-폐모듈 8만5000톤 발생…매립시에는 ‘드럼통 53만개’
-태양광 설비 증가 …폐모듈 처리비용 930억 발생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태양광 설비는 급증하고 있는데 정부의 태양광 재활용 센터 설립 시 운영비용과 폐모듈 사후처리에 대한 대책이 미비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16년 폐기된 사업용과 자가용 태양광 설비용량은 606킬로와트(kW)로 확인됐다. 태양광 발전의 설계 수명은 20년 상당으로 현재 발생되는 태양광 폐기물은 대부분 2000년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태양광 폐모듈 1kW당 발생하는 폐기물량에 대해 산업부는 약 0.1톤으로 추정하는 반면 산업연구원은 약 0.074톤으로 추정했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누적보급량 기준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성솔라에너지 25W급의 제원을 적용해 태양광 폐기물 발생량을 전망했다. 2010년 이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2030년 이후 수명완료된 태양광 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설비의 설계수명이 일반적으로 20~25년이기 때문에 2010년 전후 설치한 태양광 설비는 2030년 전후 태양광 페기물로 처리될 수밖에 없다.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를 보면 최근 15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는 매년 두 자리수 증가율로 증가해 2006년 36메가와트(MW)에서 2016년에는 4502MW로 125배 증가했다.
태양광 폐모듈 발생량 전망은 평균 기대소명에 대한 가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산업연구원은 2020년 95톤에서 2030년 1868톤, 2040년 8만522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에너지기술연구원은 2020년 233톤, 2030년 1만9077톤, 2040년 7만2168톤으로 예상했다.
수명완료 태양광 설비의 일반적 처리 절차는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 이용가능한 물질을 분리한다. 재생가능한 물질은 시장에 판매하며 재생불가능 제품은 최종처리(매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물질 종류와 범위에 따라 시장에 판매가능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김 의원은 "2040년까지 태양광 폐모듈이 8만5000여톤 발생한다는 예측이 있어 정부의 태양광 재활용센터 설립시의 연간 발생 비용과 폐모듈의 사후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 계획마련이 시급하다"며 "태양광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단순매립과 재활용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분석기간과 폐태양광 발생량에 따라 처리비용과 경제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법상 폐기물은 친환경으로 처리해야 하고 현재까지 발생한 폐모듈 606kW은 대부분 수출되거나 단순매립 됐다"며 "정부는 태양광 재활용 센터의 연간 페모듈 처리량은 3600톤으로 예상했는데 폐모듈 처리는 앞으로 신고·회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데 10~20년 주기로 발생하는 폐모듈 경제성과 처리비용을 구체적으로 재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폐모듈 8만5000톤 발생…매립시에는 ‘드럼통 53만개’
-태양광 설비 증가 …폐모듈 처리비용 930억 발생
![]() |
▲태양광 폐모듈 [사진제공=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16년 폐기된 사업용과 자가용 태양광 설비용량은 606킬로와트(kW)로 확인됐다. 태양광 발전의 설계 수명은 20년 상당으로 현재 발생되는 태양광 폐기물은 대부분 2000년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태양광 폐모듈 1kW당 발생하는 폐기물량에 대해 산업부는 약 0.1톤으로 추정하는 반면 산업연구원은 약 0.074톤으로 추정했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누적보급량 기준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성솔라에너지 25W급의 제원을 적용해 태양광 폐기물 발생량을 전망했다. 2010년 이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2030년 이후 수명완료된 태양광 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설비의 설계수명이 일반적으로 20~25년이기 때문에 2010년 전후 설치한 태양광 설비는 2030년 전후 태양광 페기물로 처리될 수밖에 없다.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를 보면 최근 15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는 매년 두 자리수 증가율로 증가해 2006년 36메가와트(MW)에서 2016년에는 4502MW로 125배 증가했다.
태양광 폐모듈 발생량 전망은 평균 기대소명에 대한 가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산업연구원은 2020년 95톤에서 2030년 1868톤, 2040년 8만522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에너지기술연구원은 2020년 233톤, 2030년 1만9077톤, 2040년 7만2168톤으로 예상했다.
수명완료 태양광 설비의 일반적 처리 절차는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 이용가능한 물질을 분리한다. 재생가능한 물질은 시장에 판매하며 재생불가능 제품은 최종처리(매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물질 종류와 범위에 따라 시장에 판매가능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 |
▲[자료제공=산업연구원 (김규환의원실 재구성)] |
김 의원은 "2040년까지 태양광 폐모듈이 8만5000여톤 발생한다는 예측이 있어 정부의 태양광 재활용센터 설립시의 연간 발생 비용과 폐모듈의 사후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 계획마련이 시급하다"며 "태양광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단순매립과 재활용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분석기간과 폐태양광 발생량에 따라 처리비용과 경제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법상 폐기물은 친환경으로 처리해야 하고 현재까지 발생한 폐모듈 606kW은 대부분 수출되거나 단순매립 됐다"며 "정부는 태양광 재활용 센터의 연간 페모듈 처리량은 3600톤으로 예상했는데 폐모듈 처리는 앞으로 신고·회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데 10~20년 주기로 발생하는 폐모듈 경제성과 처리비용을 구체적으로 재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