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이제 시작이다⑨]전기·전자, 신재생 확대·청정개발체제 구축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10.18 13:34
삼성전기

▲세종시 삼성전기 공장 전경[사진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권세진 기자]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핵심 전자부품을 개발·생산하는 전기·전자 분야는 수출주력 제품을 생산한다는 이유로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제2차 계획기간(2018∼2020년)배출권 할당계획(이하 2차 할당계획)’에서 무상할당 업종으로 지정됐다. 올해부터 일부 업종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3%를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한다. 다만 전기·전자 업종은 여기에서 제외됐다. 철강,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자동차, 조선, 시멘트 등의 업계는 기존처럼 배출권을 100% 무상으로 할당받는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리처럼 배출권거래제를 시행 중인 유럽연합(EU), 캘리포니아와 같은 기준으로 무역집약도와 생산비용 발생도를 따져서 26개 업종을 정했다"고 말했다. 수출액이 큰 업종은 유상 할당할 경우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지 않는 나라의 제품보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배려한 것이다.

기판, 칩부품, 카메라 모듈, 통신모듈 등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삼성전기는 탄소경영에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2020년까지 2014년 대비 원래 탄소배출량 15% 절감을 목표로 ‘Low-Carbon 2020’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원을 목록화하고 배출량을 산정해 정보를 공개하고 △환경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지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세계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 직·간접 배출원 관리와 기업가치사슬 전반의 배출원 파악, 배출량 산정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활동 추진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사업장 내 발생 대기오염 물질 관리를 위해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설치·확충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시설 정상가동 상태를 실시간 감시한다"며 "법 기준 30% 이내로 배출농도를 관리하며 신규 제조공정을 도입할 때 안전환경 평가 시스템을 통해 예상 오염물질과 배기량, 공정설비 등을 사전 검토해 오염물질을 최우선으로 저감하는 공법을 적용한다"고 강조했다.

사물인터넷(IoT)기기, TV, 컴퓨터, 생활·주방 가전, 스마트폰 등을 생산하는 LG전자 측도 2009년부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4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4대 전략은 생산과 사용 단계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기업가치사슬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며 저탄소 문화가 지역사회에 확산되도록 임직원 참여를 독려한다는 것이다.

LG전자는 2008년과 대비해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도입 확대와 임직원 에너지 절약 활동 등을 통해 15만톤을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LG전자 관계자는 "사업장 내 태양광 설비를 도입하고 신재생 에너지 구매를 확대했다"며 "구미와 창원 사업장에 5.4메가와트(MW)급 태양광 설비를 각각 설치·운영해 연간 약 6900메가와트시(MWh)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과 유럽 사업장에서는 사무용 건물 신재생 에너지 구매를 늘려가고 있다.

LG전자는 청정개발체제(CDM) 사업도 활발히 펼친다. 고효율 냉장고를 판매해 저감한 전력사용량을 탄소배출권으로 되돌려 받는 것이다. 2013년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로부터 인도 에너지 고효율 냉장고 제조와 판매에 대한 CDM 사업을 최종 승인 받았다. 이를 통해 2015년 2월 UNFCCC로부터 탄소배출권 6954톤을 확보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는 30년생 잣나무 57만 그루 심었을 때 이산화탄소 감축량과 동일한 수치"라며 "가전제품 생산과 판매를 통한 CDM 사업으로는 세계 최초로, 앞으로 10년 동안 총 580만톤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권세진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