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신한울 3·4호기 '사업정리실' 만들고 백지화 추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10.21 14:39

▲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원이 지난 17일 국회 앞에서 월성1호기 조기폐쇄와 신규 원전 백지화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정부의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에 따라 건설 백지화가 예정된 경상북도 울진군의 신한울 3·4호기 사업이 사업정리를 위한 조직개편 등 본격 정리 작업에 들어갔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신한울 3·4 프로젝트매니저(PM)실’을 ‘신규원전 사업정리실’로 명칭을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 

한수원은 지난 6월 15일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이사회를 열어 월성1호기 조기폐쇄와 천지 1·2호기, 대진1·2호기 등 총 4기 신규 원전 건설사업 종결을 의결한 바 있다. 당초 정부가 백지화하겠다고 밝힌 신규 원전 6기 중 신한울 3·4호기는 이날 발표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수원은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사업이 이미 많이 진행돼 당장 백지화하는 것보다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최근 이 같은 상황에 변화가 생겼다. 신한울 3·4호기도 정리를 위한 조직개편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한수원 노동조합 관계자는 "지난 6월 이사회 결정 후속조치로 7월 인사발령이 이뤄졌고 이때 ‘신한울 3·4 프로젝트매니저(PM)실’과 ‘천지 1·2 PM실’을 합쳐 ‘신규원전 사업정리실’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한수원 측은 홈페이지에 △사업종결계획 수립과 운영 △계약종결 종합관리 △인허가 종합관리 등을 신규원전 사업정리실 기능으로 명시했다. 현재 건설중인 신한울 1·2호기 PM실 주기능을 △종합사업관리 △종합설계, 주기기와 초기노심연료공급, 시공계약 계약기술 관리 △일반건설 관련 민원과 건설소 관리 △핵심기자재 국산화 사업관리 등으로 표시한 것과 차이를 보인다.

한수원 관계자는 "제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신규원전 건설이 제외되고 천지 1·2호기 사업 종결이 결정돼 원활한 후속조치를 위해 기존 별도조직을 통합 운영하게 된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이 과정에서 노조, 관련 업체 등의 의사는 반영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조 관계자는 "이사회가 명칭을 변경할 때 노조 의사를 묻지 않았다"며 "노조는 월성 1호기 조기폐쇄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에 반발해 이사진을 고소·고발하고 산업부와 국회 앞 1인 시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사회 결정 자체가 적법하지 않고 이사들이 자기 본분을 다하지 않았으므로 경찰에 배임혐의로 고소했다"며 "11명의 이사 중 4명에 대한 고소가 접수된 상태고 2명은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관련 계약이 많아 지난 6월 이사회에서 의결하지 못했던 것"이라며 "정부정책상 신한울 3·4호기 백지화는 이미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신규원전 사업정리실로 변경한 것도 이를 추진하는 과정의 연장선"이라고 말했다.

한수원 이사회는 신한울 3·4호기 건설사인 두산중공업 등 이해관계자와 의사 조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중공업은 주설비 일정 부분을 이미 제작해 보관하고 있어 보관비 등 지불이 필요한 상태이다. 노조 관계자는 "한수원은 배상액을 3500억원 정도로 생각하는데 두산중공업 측은 4500억원 정도를 고려하고 있어 조정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논의가 지연되면 보관 비용은 계속 늘어나고 한수원이 이를 떠안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두산중공업과 금액 차이는 금융비, 설비투자비, 기대이익 등이 손실비용에 포함되느냐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이라며 "사실관계 확인, 법률과 회계 검토가 필요하며 최종적으로 법적판단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너지경제신문 권세진 기자] 
권세진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