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수산업 활성+관광'…일석삼조 '해상풍력' 모델 나왔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1.10 14:01
-한전, 수산업 공존 모델 제시, 수산업 공존 개발 세계 최초

-해상풍력단지 지역 랜드마크로 홍보 관광객 유치


캡처

▲한국전력공사는 10일 열린 ‘서남해 해상풍력 사례를 통해서 본 해상풍력발전과 어민 상생방안 토론회’에서 공존 모델 실증 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신재생에너지도 챙기고 수산업도 활성화되고 관광까지 결합할 수 있다?

수산업은 물론 관광산업까지 함께 챙길 수 있는 해상풍력단지 모델이 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10일 열린 ‘서남해 해상풍력 사례를 통해서 본 해상풍력발전과 어민 상생방안 토론회’에서 해상풍력과 수산업이 공존하는 모델을 내놓았다. 수산업 공존 모델 개발은 세계최초 사례이다. 해상풍력단지 내 공존어업은 해상풍력사업자와 어민이 공존활동 규칙에 합의하고 공존운영시스템을 통해 해상활동 스케줄과 활동범위를 규정하는 계획적 어업 방식이다.

현재는 해상풍력과 수산업이 해양공간을 이용할 때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 별다른 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혹여 피해가 발생하면 정부는 단순구도의 보상을 하는 것이 전부다. 특히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해양이용의 경우 가이드라인이 명확치 않은 틈을 탄 투기적 개발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한전은 해상풍력과 어업이 공존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친환경 개발을 통해 해양단위면적당 총 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해상풍력, 수산업 공존으로 총 편익과 통합 수익률을 증대시키면 공존 공간 해양 자원량도 늘릴 수 있고 융합 산업 또한 창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나아가 이렇게 마련된 수익은 지역사회와 공유할 계획이다. 이런 방식을 활용하면 해상풍력단지 내 수산자원조성과 신규어업 창출이 가능하다. 또한 해상풍력 단지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한전은 이를 위해 2015년 6월부터 1년 동안 공존 모델 실증 시험을 실시했다. 해상풍력단지 내 다목적 해상 플랫폼을 설치해 수산업 공존을 위한 거점을 마련했다. 현장 실증 결과를 보면 수산물 생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효과가 검증됐다.

한전은 해상풍력단지용 어업 방식을 개발했다. 지역소득과 수산자원을 증가시키기 위해 현장 조건에 최적화되고 고부가가치 양식기술을 발굴한 양식방법을 사용했다. 인공어초 형상 역시 개선했다. 이외에도 패류, 해조류, 해삼 등을 대상으로 한 복합양식단지의 적합성 검증을 마쳤다.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실험대조구로서 통영 연안 실험을 병행했다. 뿐만 아니라 기상·해양·환경·수산 빅데이터를 활용해 해상풍력과 수산업의 공존을 관리하는 시스템도 갖췄다.

그 결과 굴, 비단가리비, 미역, 다시마 4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굴은 품질 면에서 앞섰고 미역, 다시마 역시 양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됐다. 한전은 앞으로 서남해 실증 단지를 연구한 끝에 2022년부터 서남해 시범단지를 운영해 실증단지 내 64헥타르(ha)의 공존 사업을 운영할 방침이다.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강금석 부장은 "수산업 공존 모델이 자리잡으면 지역 어민과 지자체가 스스로 선택하는 해상풍력 개발이 가능해진다"며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모범 사례가 되는 것은 물론, 해상풍력단지를 수산업 증진의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해상풍력단지를 지역 랜드마크로 홍보해 관광객 유치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주민 수용성 문제는 해결 가능한 분야라고 진단했다. 강 부장은 "해상풍력 개발이 창출하는 직간접 편익은 보상적 조치보다 월등하게 큰 만큼 앞으로는 보상보다는 편익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며 "정부나 지자체는 원활한 사업 시행을 위해 국가적으로 해상풍력 입지 공급과 개발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