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작년 75조원 증가…은행 주담대 큰 폭 늘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1.10 15:14
주택담보

▲사진제공=연합.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가계대출이 지난해 약 75조원 늘었다.

10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12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5000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전년 동월보다 5000억원 늘었고, 전월보다 1조5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12월 한 해 동안 가계대출은 75조1000억원 늘었다. 증가폭은 2017년과 비교해 15조4000억원 줄었다. 보험·상호금융·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년의 31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14조6000억원으로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다만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2017년 58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60조8000억원으로 커졌다. 잔액은 827조6000억원이다.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37조2000억원에서 37조8000억원으로, 기타대출 증가폭은 21조6000억원에서 22조7000억원으로 각각 확대됐다. ‘9·13 부동산대책’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앞두고 집값이 급등했고,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대출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9·13 대책 전까지 대출 증가세가 전년과 비슷했다"며 "부동산 관련 대출이 많이 늘어 전체적으로는 전년과 비슷했다"고 분석했다.

월별로는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은 10월 7조8000억원, 11월 6조7000억원, 12월 5조4000억원으로 점점 줄었다. 하지만 이 중 주택담보대출만 보면 12월에 4조9000억원이 늘어 2016년 11월 6조1000억원이 늘어난 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단일 단지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송파 헬리오시티’ 등 부동산 시장 활황기 분양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며 잔금대출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비수기인 지난달 전세자금대출 증가세가 이어진 영향도 있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수(2만9000호)와 서울 아파트 전세거래(1만1000호)는 11월과 비슷하거나 많았다. 금융위는 주택도시기금 버팀목 전세대출이 10월 말부터 은행 재원으로 바뀌면서 정책자금 계정이 아닌 은행 전세대출로 잡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금융위는 "대규모 단지 입주에 따른 잔금 대출과 정책자금 고갈 등 일시적 요일을 빼면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전년 동월보다 5000억원 줄었다"고 설명했다.

제2금융권은 지난달에도 가계대출이 위축됐다. 지난달 증가폭은 1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00억원, 전월 대비 1000억원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은 잔액이 전년 동월 대비 6000억원, 전월 대비 3000억원 줄었다. 다만 기타대출은 1조7000억원 늘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2금융권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확대 시행, 가계부문 경기대응 완충자본 도입 등으로 올해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욱 안정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