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필수 한국전기자동차협회 회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 |
[에너지경제신문=여헌우 기자] 김필수 한국전기자동차협회 회장(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이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서 전기·수소차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했다.
김 회장은 이날 주제발표를 통해 전기차의 단점을 짚으면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소전기차의 장점에 대해 소개했다. 김 회장은 "전기차 기술이 많이 발전하긴 했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은 상황"이라며 "충전기에 대한 고민, 충전기 방식이 아직 3가지로 나뉘어 통일이 안됐다는 점, 배터리 가격이 차량 가격의 40% 가량을 차지해 중고차 잔존가치가 크게 떨어진다는 점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또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도 분명한데, 휴대폰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전기차 배터리도 3~4년이 지나면 주행거리가 짧아진다"며 "겨울철 배터리 효율이 20% 가량 떨어지고 히팅 기능이 없어 난방에 많은 에너지를 써야한다는 것도 단점"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김 회장은 수소전기차를 ‘궁극의 친환경차’라고 꼽았다. 김 회장은 "내연기관차도 기솔린·디젤 등으로 양분화 돼 있듯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도 경쟁이 아닌 상호보완 관계가 될 것"이라면서도 "수소전기차는 분명 전기차를 이어 그 다음 단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전기차 기술이 발전하면 수소전기차의 완성도도 높아진다는 점을 언급했다. 김 회장은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는 기술적인 부분에서 부품을 70% 가량 공유할 수 있고, 에너지원만 다를 뿐"이라며 "도심 단거리에서는 전기차, 장거리 주행이나 대형버스 등에는 수소차를 적용하는 등 역할을 분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회장은 수소전기차의 가능성을 열기 위해 정부의 규제 혁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전기차는 콘센트만 있으면 충전할 수 있지만 수소차는 충전소 이외에 방법이 없다"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수소충전소를 허가해주는 방식은 규제일변도의 정책으로 읽히기 때문에 과감하게 규제를 없애는 방안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또 수소전기차 시대로 가기 위한 연착륙 모델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등 전기차 시대로 가기 직전 모델들도 충분히 친환경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게 골자다.
김 회장은 "마지막 단계에서 물만 배출하는 수소차의 무공해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는 "노르웨이의 경우 전체 전력의 97% 가량이 수력으로 생산된다"며 "전기차가 다 보급되면 국가 전체가 친환경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셈"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상황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전기차·수소전기차를 보급하면서도 이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