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발 쇼크' 국제유가 향방, 이제 공은 사우디에 달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4.23 09:51

사우디 증산 or 감산 결정에 국제유가 출렁일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조치와 관련해 한국 등 8개국에 대한 한시적 제재 조치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국제유가 향방에 관심이 집중된다. 

하반기 미국의 셰일가스 증산이 예정돼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할 가능성은 낮지만, 결국 관건은 최근 원유 생산량을 줄이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미국 국무부는 22일(현지시간)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조치와 관련해 한국, 중국, 인도, 이탈리아, 그리스, 일본, 대만, 터키 등 8개국에 대한 한시적 제재 예외 조치를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재 하루 평균 약 100만 배럴로 추정되는 이란산 원유 수출은 다음달 2일부터 사실상 금지된다. 이란산 원유 수입 전면 금지 조치가 발효되면 원유를 더는 수출할 수 없게 되고 이란과 원유를 거래하는 국가들도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형태로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다만 미국은 이같은 조치가 유가 급등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로부터 공급을 확대하는 것을 약속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2020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 경제가 위축되지 않기 위해 유가를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대이란 제재 강화를 발표한 직후 트위터에서 "이란원유에 대한 현재 우리의 전면적 제재에서 비롯되는 (원유공급량) 격차를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 회원국들이 그 이상으로 보충할 것"이라고 밝히며 사우디아라비아에 사실상 증산을 압박했다.

결국 당분간 이란발 쇼크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을 막을 수 있는 건 석유수출국기구(OPEC) 좌장격인 사우디아라비아에 달렸다는 평가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칼리드 알팔리 산업에너지·광물부 장관 역시 "원유시장의 안정을 추구한다는 기존 정책이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라며 표면적으로는 '원유시장 안정'을 강조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 측의 요구대로 순순히 증산에 나설지 장담하기는 어렵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올해 국가 재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제유가를 최소 80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올해 산유국들이 원유 감산에 나선 것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적극적인 의지와 압박 때문이었다. OPEC과 러시아가 이끄는 OPEC 비(非)회원국은 오는 6월까지 하루 평균 산유량 120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했다. 이에 힘입어 서부텍사스산원유는 올해 들어 40% 넘게 급등했다. 여기에 미국이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 조치를 연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국제유가는 추가로 상승했다. 이날 WTI는 전일 대비 배럴당 2.7%(1.70달러) 오른 65.70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브렌트유와 함께 지난해 10월 말 이후로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유국들은 6월 25~26일(현지시간) 정기총회에서 원유 감산 연장 여부를 논의한다. 만일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이 감산 조치를 연장하지 않는다면 이란발 원유 공백이 상당부분 상쇄되면서 이란 제재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에 대한 우려도 완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가 국제유가 추가 상승을 위해 감산 조치를 연장하면 미국이 셰일가스 증산에 나서기 전까지는 국제유가가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이란산 원유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행보도 변수다. 중국은 미국의 일방적인 이란 제재에 반발하는 기류인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중국은 계속 이란산 원유를 수입할 것 같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장은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 
송재석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