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한중일, 경제위기 때 '역내통화로 긴급자금 지원' 추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5.02 17:50
이주열 홍남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일(현지시간) 피지 난디 웨스틴호텔에서 열린 한·중·일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동남아국가연합인 아세안(ASEAN) 회원국과 한중일 3국에 경제위기가 발생했을 때 달러화가 아닌 역내 통화인 원화, 위안화, 엔화로 긴급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아세안 회원국과 한중일 3국은 이날 오후 피지 난디에서 제22차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외환위기와 금융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역내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의 실효성을 높이자는 내용이 주로 논의됐다. 

CMIM은 아세안+3 회원국을 대상으로 외환위기나 금융위기가 발생하거나 위기 조짐이 보이면 긴급 유동성 자금을 지원하는 역내 금융안정 시스템이다. 이날 회원국들은 공동선언문에 ‘CMIM의 (긴급자금) 공여 시 역내 통화 활용에 관한 일반지침을 승인한다’는 1개 문장을 추가했다. 위기 발생 국가에 긴급자금을 지원할 때 CMIM이 기축통화인 달러화 외 역내 통화로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것이다. 역내 통화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적시하진 않았으나,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아세안 회원국 통화보다는 원화, 위안화, 엔화가 될 것이란 시각이 힘을 얻는다.

아세안+3 회의에 앞서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는 별도 회의를 연 뒤 "CMIM 역내 통화 활용에 관한 일반지침을 환영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현재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기축통화국 중 하나인 일본 역시 엔화 사용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한국도 향후 논의 때 역내 통화에서 원화 역할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날 채택된 역내 통화 활용방안은 장기적 관점에서 합의한 가이드라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실제 세부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 회원국과 한중일이 채택한 공동선언문에는 CMIM 등 역내 금융안전망 실효성 확대를 위해 국제통화기금(IMF) 연계자금의 지원기한 폐지, 신용공여 조건 부과 확대, IMF와의 협력 메커니즘 제고, 대외 커뮤니케이션 개선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아울러 역내 감시기구(AMRO) 활용, 아시아채권시장 발전방향(ABMI) 추진 등의 내용을 합의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