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등 해외기관 韓 성장률 하향 조정...기업 투자환경 ‘꽁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5.21 18:28

▲(사진=연합)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투자은행(IB) 등 주요 기관들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하향 조정하고 있다. 글로벌 교역 둔화 등 대외적 요인에 기업들의 투자환경까지 위축되면서 경기 둔화 압력이 가중됐다는 평가다.

21일 OECD가 발표한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수정됐다.

이는 올해 3월 내놓은 중간 경제전망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수치다.

내년도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2.6%로 중간 경제전망 당시 2.6%에서 0.1%포인트 내렸다.

해외 투자은행들이 바라보는 한국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

국제금융센터의 9개 투자은행 전망치 집계에 따르면 한국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2.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불과 한 달 사이에 0.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OECD 전망보다도 낮았다.

투자은행별로 보면 노무라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8%로 제시해 가장 비관적이었다.

HSBC는 올해 한국 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바클레이스는 2.2%, 골드만삭스 2.3%였다.

경제분석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는 한국이 올해 1.8%, 내년에는 2.0%, 2021년에는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해외 기관들이 한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는 것은 대외요인에다가 기업들의 투자환경마저 악화됐기 때문이다.

OECD는 한국의 성장세 둔화 전망이 대내 수요 및 글로벌 교역 약세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교역과 중국발 수요가 모멘텀을 잃은데다 반도체 경기 하강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내적으로 기업들의 고정투자가 줄고, 고용이 위축된 점도 부담이다. 특히 기관들은 2018∼2019년 최저임금이 29% 인상된 것이 일자리 창출을 저해했다고 진단했다.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