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제공=금융감독원. |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국내 금융회사들의 지난해 해외점포 수가 전년보다 6개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국내 금융사들 해외점포는 43개국 437개로 집계됐다고 23일 발표했다. 15개가 신설되고 9개가 폐쇄돼 6개가 늘었다.
신설 점포는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국가에 집중됐다. 캄보디아에 우리은행, DGB대구은행, NH농협은행, KB국민카드가 현지법인을 세웠고 IBK기업은행은 지점을 열었다.
미얀마에는 메이슨캐피탈 현지법인과 신한카드 사무소가 들어섰다. 인도네시아에는 한국투자증권, 싱가포르에는 미래에셋대우가 현지법인을 개설했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은 베트남에 사무소를 열었다.
이밖에 우리은행은 독일, 미래에셋대우는 미국. 라이노스자산운용은 몽골에서 현지법인을 열었다. 국민은행은 영국에 지점을 열었고, 수출입은행은 방글라데시에 사무소를 신설했다.
해외점포 총자산은 1790억달러로 전년보다 218억달러(14%) 늘었다. 미국(610억달러), 중국(325억달러), 홍콩(179억달러) 등이다.
지난해 순이익은 12억83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억4900만달러(37%) 증가했다. 미국, 중국, 홍콩 등 기존 진출지역에서 자본확충과 인력보강으로 영업기반이 확대됐고, IB(투자은행)와 프라임브로커리지 등으로 사업구조가 다변화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점포들이 수익성이 높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국가를 중심으로 운용자산을 늘리고 신성장 동력 확보 노력을 기울였다"고 분석했다.
해외점포 순이익 비중은 아시아가 79.1%, 유럽이 11.2%, 아메리카가 8.9%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2억5200만달러, 홍콩 2억3500만달러, 베트남 1억5700만달러 등이다.
앞의 관계자는 "향후 양자 및 다자간 면담을 정례화하는 등 감독당국간 직·간접 협의 채널을 강화하고, 네트워크와 정보교류 확대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