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한국 최초 황금종려상’ 수상 영예...외신 "세계적 빈부격차 효과적 조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5.26 10:31

봉준호

▲봉준호 감독(오른쪽)과 배우 송강호가 영화 ‘기생충’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에 선정된 뒤 포옹하고 있다.(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한국영화 역사상 사상 최초로 칸 영화제의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외신들도 그의 이력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AP통신은 25일(현지시간) 봉 감독의 수상을 긴급 기사로 타전한 뒤 이어지는 기사에서 "‘기생충’의 수상은 한국영화로서는 첫 황금종려상 수상"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통신은 "여러 장르가 결합한 이 영화는 올해 칸영화제에서 거의 틀림없이 가장 호평받은 영화"라고 설명했다.

AP는 또 "우리는 이 영화가 서로 다른 장르를 통해 보여준 미스터리를 공유했다"는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의 심사평을 전했다.

특히 AP통신은 지난해 일본의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어느 가족’에 이어 아시아 감독이 두 번째로 황금종려상을 받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생충은 지난 22일 프랑스 칸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공식 상영 후 8분이 넘는 기립박수를 받았으며, 칸영화제 소식지 스크린 데일리로부터 경쟁부문 출품작 중 최고점을 얻었다.

로이터 통신도 지난해 고레에다 감독에 이어 올해 봉 감독의 영화가 황금종려상을 가져가면서 아시아 영화가 또다시 칸영화제의 주목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dpa통신은 ‘봉준호가 황금종려상을 받은 첫 한국 감독이 됐다’는 기사를 통해 봉 감독의 수상 소식을 알리면서 현대 한국 사회의 계급 문제를 파헤친 영화라고 기생충을 소개했다.

AFP통신은 ‘한국의 신랄한 풍자가 봉준호가 칸에서 역사를 썼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봉 감독의 그간 이력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AFP는 봉 감독이 연세대 사회학과 재학 당시 민주화 운동에 나섰다가 체포됐고, 박근혜 정부 때는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에 올랐다며 사회비평가로서의 면모도 언급했다.

특히 봉 감독이 칸영화제 시상식에서 주연배우 송강호에게 무릎을 꿇고 황금종려상을 건넨 장면을 묘사하며 송강호를 한국의 ‘국보급 배우’라고 소개했다.

이날 프랑스 칸에서 열린 올해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봉 감독의 ‘기생충’은 올해 칸 영화제에 초청된 쿠엔틴 타란티노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장 피에르·뤼크 다르덴의 ‘영 아메드’,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페인 앤 글로리’, 셀린 시아마의 ‘포트레이트 오브 어 레이디 온 파이어’등 21개 작품 가운데 최고상을 받았다.

봉 감독은 2006년 ‘괴물’로 감독주간에 초청되면서 칸 영화제와 인연을 맺었다. 2008년과 2009년 ‘도쿄!’와 ‘마더’가 각각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됐다. 2017년 넷플릭스 영화 ‘옥자’로 경쟁부문에 데뷔했고, ‘기생충’으로 두 번째로 경쟁부문에 진출해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았다.

‘기생충’은 전원 백수인 기택네 장남 기우가 박 사장네 고액 과외 선생이 되면서 일어나는 예기치 못한 사건을 다룬 블랙 코미디다. 가난한 가족과 부자 가족 이야기를 통해 보편적 현상인 빈부격차의 문제를 다룬다.

봉 감독은 수상 소감에서 "언제나 프랑스 영화를 보면서 영감을 받았다"며 "‘기생충’이라는 영화는 놀라운 모험이었다. 그 작업을 가능하게 해준 것은 저와 함께해준 아티스트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위대한 배우들이 없었다면 한 장면도 찍을 수 없었을 것이다. 배우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