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조사위 "ESS 화재, 제조결함·관리부실·설치 부주의 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6.11 11:45

23곳 화재원인 5개월 조사결과 발표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용관리 부실,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 보호체계 미흡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이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화재사고의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정부가 5개월 넘게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원인을 조사한 뒤 제조결함과 관리부실, 설치 부주의 등 4∼5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는 결과를 내놓았다. 배터리 결함 논란에 대해서는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이 있었지만 실험 결과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가혹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하면 위험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위원장 김정훈 교수)가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고 화재 재발 방지와 ESS 산업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전국 23곳에서 잇따른 ESS 화재에 대한 민관합동 조사 결과 민관조사위는 ▲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 운용관리 부실 ▲ 설치 부주의 ▲ ESS 통합제어 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에 의해 화재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배터리 보호 시스템과 운용관리 부실을 직접적 원인으로 꼽았다.

조사위는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랙 퓨즈, 직류접촉기, 버스바 등 배터리 보호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배터리 보호시스템이 전기충격을 차단하지 못하거나 성능이 저하돼 폭발하는 것은 결국 배터리 제조사의 책임이라고 조사위는 보고 있다.

이어 ESS를 설치하고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도 조사위는 지적했다. 보통 ESS는 신재생 발전 설비와 함께 외진 곳에 설치돼 상주 관리인이 없어 온도와 습도 등을 제대로 맞출 수 없게 된다. 큰 일교차로 이슬이 맺히고 다량의 먼지 등에 노출돼 절연이 파괴된 결과 불꽃이 튀기는 등 화재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세 번째 직접적 원인으로는 신산업인 ESS를 영세 시공업체들이 다루며 고온다습한 곳에 배터리를 방치하거나 설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가 지목됐다.

네번째 요인으로 ESS를 이루는 배터리, 전력변환장치(PCS), 소프트웨어 등 개별설비들이 한 몸처럼 설계, 또는 운용되지 않은 것이 지적됐다.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용되지 않아 화재 예방을 선제적으로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 일부 배터리셀의 제조상 결함도 발견됐으나 이는 화재 원인으로 확인되지는 않았고 화재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배터리셀에서 제조결함이 발견됐으나 시험 실증에서 곧바로 화재로 이어지진 않았다. 다만 매일 배터리를 가득 충전했다가 완전히 방전하는 등 가혹한 조건에서 운영하면 내부 단락(합선)으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조사위는 결론 내렸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날씨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확대에 꼭 필요한 설비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