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국내 자동차 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4.1%, 수출은 6.1% 상승했다고 13일 밝혔다.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2개월 연속 동반 성장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량은 신차 수출과 내수 호조, 조업일수 증가 등으로 1년 전보다 4.1% 많은 36만 6152대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작년 보다 12.8% 증가한 16만 6503대를 만들었다. 팰리세이드, 쏘나타 등 신차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간 수출량은 22만 6096대로 6.1% 증가했다. 미국↑서유럽 등 주요시장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가 부진했지만, 북미를 중심으로 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친환경차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면서 이를 상쇄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51.3%, 북미 47.4%, 동유럽 13.9% 등이 늘어난 반면 중남미는 21.3%, 유럽연합은 19.7%, 중동은 17.9% 줄었다.
내수에서 국산차 판매는 0.5% 증가했지만 수입차는 17.6% 줄었다. 전체적으로는 2.5% 감소한 15만 3820대의 실적을 냈다. 국산차는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국산 신차 출시 효과로 인해 13만 2286대를 팔았다. 수입차는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 일부 업체의 재고 물량 부족으로 2만 1534대를 파는데 그쳤다.
친환경차는 내수의 경우 37.2% 많은 1만 3844대, 수출은 15.6% 증가한 1만 8490대를 판매했다.
자동차부품의 수출은 작년 대비 7.5% 빠진 19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북미와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은 증가했지만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중동 등에서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자동차 생산량은 신차 수출과 내수 호조, 조업일수 증가 등으로 1년 전보다 4.1% 많은 36만 6152대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작년 보다 12.8% 증가한 16만 6503대를 만들었다. 팰리세이드, 쏘나타 등 신차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간 수출량은 22만 6096대로 6.1% 증가했다. 미국↑서유럽 등 주요시장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가 부진했지만, 북미를 중심으로 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친환경차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면서 이를 상쇄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51.3%, 북미 47.4%, 동유럽 13.9% 등이 늘어난 반면 중남미는 21.3%, 유럽연합은 19.7%, 중동은 17.9% 줄었다.
내수에서 국산차 판매는 0.5% 증가했지만 수입차는 17.6% 줄었다. 전체적으로는 2.5% 감소한 15만 3820대의 실적을 냈다. 국산차는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국산 신차 출시 효과로 인해 13만 2286대를 팔았다. 수입차는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 일부 업체의 재고 물량 부족으로 2만 1534대를 파는데 그쳤다.
친환경차는 내수의 경우 37.2% 많은 1만 3844대, 수출은 15.6% 증가한 1만 8490대를 판매했다.
자동차부품의 수출은 작년 대비 7.5% 빠진 19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북미와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은 증가했지만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중동 등에서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