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삼성전자, 아쉬움이 남는 2분기 실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7.05 16:55

[에너지경제신문 김순영 전문기자]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기대치를 상회했다.

5일 삼성전자는 매출 56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에프앤가이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평균 전망치는 매출 54조 784억원, 영업이익 6조787억원이었다.

이처럼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은 것은 일회성 이익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아쉬움이 남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clip20190705144829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잠정치 (자료=전자공시시스템)


◇ 2분기 실적 상회 중심은…삼성디스플레이의 특별 이익


이번 실적의 중심은 디스플레이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분기 수천억 원 규모의 일회성 이익을 낸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X’ 판매가 저조하면서 애플이 당초 주문하기로 계약한 OLED 디스플레이 물량을 채우지 못했고, 이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에 보상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삼성디스플레이 영업이익은 흑자로 돌아섰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일회성 이익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메리츠종금증권은 대략 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들을 중심으로 리지드(rigid) OLED 디스플레이 수요가 늘고 있고, 삼성전자 A시리즈 모델에 대한 수익이 증가하면서 전체 실적이 개선됐을 것으로 분석했다.

반도체는 여전히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서버용 디램 가격이 지난 1분기에 이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은 3조원 초반 대를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파운드리 사업부의 가동률 개선으로 LSI 실적은 양호했다는 분석이다.

clip20190705144906

▲디램 가격은 3분기까지도 하락이 전망되고 있다 (자료=instantflashnews.com)


◇ 메모리반도체 및 스마트폰 부진했지만…LSI 및 통신장비 성장 기대

IM(IT·모바일)은 갤럭시S10 출하량이 지난 1분기보다 줄어들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2분기 말 갤럭시S 시리즈의 판매량이 둔화된데다 중저가 모델들의 제조비용 부담으로 IM부문 영업이익은 1조원 초반 대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갤럭시노트7 소송사태가 있었던 2016년 다음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통신장비의 경우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매출 성장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clip20190705144947

▲(자료=현대차증권)


현대차증권은 삼성전자의 통신장비 사업이 올해 5조원 이상의 매출액을 올릴 것으로 기대했다.

통신장비의 경우 수주산업이라는 점에서 매출액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가 스마트폰보다 큰 것이 강점이다. 특히 5G 장비 수주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IM사업부의 실적에 대한 기여도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일본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 이슈로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증권은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의 높은 재고를 해소하기 위해 공급 조절에 집중하고 있고, 마이크론에 이어 디램생산과 설비투자 규모를 기존보다 축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고객사들의 과잉 재고가 올해 3분기에는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자의 재고가 내년 중반에 정상화된다면 이르면 내년 초에는 메모리시장이 회복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메모리반도체 공급 감소 앞당기는 계기 될 수도"

이같은 전망 속에 나온 일본의 반도체 관련 수출 규제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생산 감소를 더 빠르게 진행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clip20190705145041

▲외신에서는 반도체 규제 이슈를 정치·외교 분야에서 분석 (자료=thediplomat.com)


유안타증권은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생산 차질과 생산량 감소, 재고 소진 등이 발생하면서 재고 과잉 상황이었던 현재의 메모리반도체 업황이 오히려 긍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증권은 화웨이 제재가 수요에 영향을 주는 이슈였다면 일본 소재 수출 제재는 공급에 영향을 주는 이슈로 규제가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이슈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에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 등이 사업을 과점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재가 이어진다면 메모리반도체 가격 급등으로 일본 기업 역시 부작용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규제는 장기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순영 전문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