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고발당한 한전, 자회사 지분 매각 추진 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7.08 13:59

한전 주주들, 한전 경영진 배임혐의로 고발…해법 찾기 골몰
한전기술 보유지분 14%, 한전산업 지분 모두 매각 공시
업계 "한전과 정부에 전기요금 인상 압박 위한 취지" 주장

▲한국전력.


지난주 소액주주들로부터 배임혐의로 고소를 당한 한국전력공사(대표 김종갑)가 자회사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적자와 최근 누진제 완화 등 재무구조 악화를 만회하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1조1745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에도 6000억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악의 실적이다. 여기에 최근여름철 전기요금 누진제가 개편되면서 연간 3000억원가량의 비용을 떠안게 됐다. 한전 이사회는 이번 누진제 완화를 일시보류하면서 손실분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지난해에도 누진제 완화로 3587억 원의 비용이 발생했지만 정부로부터는 300억 원 정도만 지원을 받았다. 아울러 2022년 개교를 목표로 5000억 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는 한전공대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전의 자회사 지분 매각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한전은 지난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이런 내용을 담은 2018회계연도 연차보고서를 제출했다. 한전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사로 매년 사업보고서를 공시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부채 감축과 경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한국전력기술, 한전산업개발 보유지분 매각을 계획하고 있다"고 명시돼있다.

현재 한전은 한국전력기술과 한국산업개발 지분을 각각 66%, 29%가량 보유하고 있다. 보고서에 나온 매각 가능 지분은 한국전력기술의 경우 약 15%이다. 이러면 매각 이후에 지분 51% 보유하게 돼 최대주주로서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한국산업개발에 대해서는 보유 지분 전부를 매각 가능 물량으로 분류했다. 지난 5일 종가 기준으로 환산하면 한전은 해당 지분 매각으로 약 1080억원(한전기술 750억원, 한전산업 330억원)을 마련할 수 있다. 실제 한전은 과거에도 여러번 계열사 지분 매각을 통해 자금을 마련했다. 한전을 2013년, 2014년, 2016년 세 차례에 걸쳐 9%가량의 한전기술 지분을 매각한 바 있다.

그러나 매각 대상인 자회사 측은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전기술 관계자는 "지분 매각의 모회사(한전)의 경영개선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전기술의 경영은 지분 매각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게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전산업개발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한전은 2003년 한전산업의 지분 51%를 한국자유총연맹에 넘기기도 했다. 이후 2010년에는 한전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면서 지분 20%를 추가로 매각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한전산업개발이 매각될 경우 업무 안정성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한편, 한전 측은 "2008년에 추진했던 정부의 공기업 부채 감축과 경영효율화 정책에 따른 것으로 현재 재무상황과 여름철 요금제 완화와는 별개의 건"이라며 "아직 매각이 확정된 게 아니며 이로 인한 수익을 어떻게 사용할 지 역시 정해진 바 없다"고 해명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자료가 5월에 공시된 것인데 최근 기사화가 된 점을 두고 전력업계에서 정부와 한전으로 하여금 전기요금을 인상하라고 압박하기 위한 취지라는 시각도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전지성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