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은행 국내대출 규모 25조원 육박..."금융보복 대비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7.16 16:42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원들이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제품 판매중단 확대선포 기자회견에서 일본업체의 로고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


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의 자금 규모가 25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일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일본계 자금 규모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여신(금융감독원 집계)이 5월 말 기준 24조7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3월 말 기준 21조9000억원보다 2조8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초부터 시작된 일본계 은행의 여신 회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진정 기미를 보였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여신은 2017년 말 26조원을 고점으로 지난해 9월 23조5000억원, 지난해 말 22조8000억원, 올해 3월에는 21조9000억원까지 줄었다. 국제금융센터는 일본계 은행의 외화 예대율이 높았던 데다 전 세계적으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줄어들면서 일본계 은행이 대외 익스포저를 줄였다고 분석한 바 있다. 올봄(3~5월)에는 이런 여신 회수 움직임에 일부분 변화가 감지됐다.

5월 말 잔액에 대해 금융위는 "예년 수준으로 다시 증가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국내 금융시장에서 일본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좀 더 엄중하게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의 여신은 5월 말 기준 국내에서 영업 중인 16개국 38개 지점 총여신(98조원)의 25.2%에 달한다. 이는 중국(33.6%·32조9000억원)에 이어 국가별로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특히 일본계인 미즈호은행의 여신은 11조7000억원으로 국내에서 영업 중인 외국계은행 지점 중 가장 많다. 역시 일본계인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은 8조2000억원,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4조6000억원, 야마구찌은행은 1000억원의 여신을 국내에 운용 중이다. 6월 말 기준 일본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국내 상장증권은 2억9600만주로 금액으로 따지면 13조원에 달한다.

김정훈 의원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일본의 단기대출 만기 연장 거부로 위기가 악화된 경험을 고려할 때 금융 보복 가능성은 열려 있다"면서 "금융위가 이에 대비한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한 대응 메뉴얼을 준비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위는 금융 부분에서 일본의 보복 조치 가능성과 그 영향은 현재로서는 예단하기 어려우나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금융서비스의 경우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지 않고 쉽게 대체 가능한 서비스 특성을 감안할 때 일본이 보복해도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다. 신진창 금융위 금융정책과장은 "관계부처와 함께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이유민 기자] 
이유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