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감소 규모 4.7배·부가가치 감소 5.9배·고용감소 5.3배
여행감소 이어지면 내년 경제성장률 日-0.1%p·韓 -0.05% 2배
현대硏 "우리 관광산업도 막대한 피해…경제전쟁 확산 막아야"
![]() |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최근 한일 무역전쟁으로 피해를 입게 될 양국의 광관산업 생산감소 규모가 한국에 비해 일본이 무려 6배 가까이 큰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내년까지 한일 무역분쟁이 이어지면 일본내 한국인 관광객 규모가 80% 가량 감소하고, 내년 일본 경제성장률이 0.1%P 가까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3일 ‘한일 여행절벽의 경제적 피해와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양국 여행 감소의 피해는 절대적 규모 면에서나 체감도 면에서 일본의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생산감소 규모는 일본이 한국의 4.7배, 부가가치 감소 규모는 일본이 한국의 5.9배, 고용감소 규모는 일본이 한국의 5.3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특히 관광산업의 피해집중도가 일본이 한국에 비해 더 확연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산업의 피해 규모가 전산업 피해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감소 부문에서 한국 59.7%·일본 72.4%로 나타났고, 부가가치감소 부문은 한국 61.0%·일본 73.9%, 고용감소 부문은 한국 76.9%·일본 82.6%로 분석됐다. 경제성장률 감속효과는 한일 여행 감소가 2020년까지 이어질 경우 2020년 경제성장률에서 일본의 경제성장률 하락효과가 -0.1%p로 한국 -0.05%p의 2배 피해를 볼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2020년 경제성장률 하락분에 대해 평균적인 양국의 경제성장 속도를 감안할 경우 체감적 경제성장률 감속효과는 한국 -1.6%·일본 -14.3%로 일본이 한국의 약 9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현대硏은 양국 관광산업에 대한 피해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한일 국가통계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여행절벽의 직접적 충격은 한일 간 국제수지상의 여행서비스 및 여객운송서비스의 감소를 가정했다. 실제로 한국인의 2018년 기준 일본 방문자 수는 사상 최대 규모인 754만명에 이르고, 이는 4년 전인 2014년의 276만명에서 약 3배가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일본인의 2018년 한국 방문자 수는 약 295만명으로 2014년의 228만명보다 증가했지만 2012년의 352만명에서 크게 모자란 수준이다. 결국 양국 분쟁은 한국인의 일본 관광 급감을 초래해 감소율이 81.2%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 |
하지만 보고서는 "한국 역시 일본의 한국여행 급감으로 생산 1조8745억원, 부가가치 7687억원, 고용 1만8176명 감소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면서 "양국 외교 갈등이 경제전쟁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 국내 관광산업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응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일 양국 정부의 전향적이고 실용적 정책 대응 △일본 의존도 높은 여행업계 모니터링 강화 및 지원 △정치권의 ‘일본여행 보이콧’ 운동 부추기는 행태 자제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 위한 전략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