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의 명칭 등은 함구...김정은 "무적의 군사력 보유-강화해야"
![]() |
▲북한이 16일 또 다시 미상의 발사체 2발을 동해상으로 쏘아올렸다. 북한은 지난 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신형전술유도탄 위력시위발사’를 했다고 조선중앙TV가 7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황해남도 서부작전비행장에서 쏘아올려진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가 상공으로 솟아오르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북한이 지난 1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시도 아래 새 무기 시험사격을 했다고 공개하며 새로운 성과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지난 10일의 발사체 발사 때와 마찬가지로 ‘새 무기’라는 표현 외에 무기 특성이나 개발 수준 등을 짐작할 수 있는 별도의 명칭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조선중앙통신은 17일 "김정은 동지께서 8월 16일 오전 새 무기의 시험사격을 또다시 지도하시었다"며 "자위적 국방력 강화에서 사변적 의의를 가지는 새로운 성과들이 연이어 창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이번 시험사격을 포함한 최근의 무기개발에 대해 "첨단무기 개발 성과는 주체적 국방공업발전사에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기적적인 승리이며 자위적 국방력 강화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으로 되는 커다란 사변들"이라고 자평했다.
이번 시험사격을 지도한 김정은 위원장은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무적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그를 계속 강화해나가는 것이 우리 당의 국방건설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관철하기 위한 단계별 점령목표들은 이미 정책적인 과업으로 시달되었다"고 자평했다.
김 위원장은 "그 어떤 세력이든 우리를 상대로는 불장난 질을 해볼 엄두도 못 내게 만드는 것, 만약 물리적 힘이 격돌하는 상황이 온다고 해도 우리의 절대적인 주체 병기들 앞에서는 그가 누구이든 속수무책으로 당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그러한 강한 힘을 가지는 것이 우리 당의 국방건설의 중핵적 구상이고 확고부동한 의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3년간 간고한 투쟁을 벌여 핵전쟁 억제력을 자기 손에 틀어쥐던 그 기세, 그 본때대로…나라의 방위력을 백방으로 다져나가야 한다"며 국방과학 연구 및 군수공업 부문의 지속적인 ‘용진’을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새 무기’ 개발자들에 대해서도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커다란 만족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주요 군사적 타격수단들을 최단 기간 내에 개발해내고 신비하고도 놀라울 정도의 성공률을 기록한 것만 보아도 나라의 국방과학기술의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으며 국방공업의 물질·기술적 토대 또한 높은 수준에서 완비되어가고 있음을 그대로 실증해준다"고 밝혔다.
북한은 통상 발사 다음 날 관영 매체를 통해 발사 사실을 발표한다.
이번 발사와 관련,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16일 "북한이 오전 8시 1분, 8시 16분경 강원도 통천 북방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합참에 따르면 전날 발사체의 고도는 약 30㎞, 비행거리는 약 230㎞, 최대속도는 마하 6.1 이상으로, 지난 10일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2발이 발사된 미사일(고도 48km, 비행거리 400여km, 마하 6.1 이상)과 유사한 비행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