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점유율 10%로 유일하게 내리막길...‘세계 1위 아성’ 지켰다
![]() |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상반기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3개 사업부문에서 점유율을 높이며 세계 1위 자리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IT모바일(IT), 소비자가전(CE) 부문의 대표 품목인 D램 메모리 반도체, 휴대전화, TV의 올 상반기 점유율은 모두 지난해 평균치를 상회했다.
우선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D램은 금액 기준으로 올해 상반기 점유율 44.1%를 올렸다. 이는 지난해(43.9%)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그러나 2017년의 45.8%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회사 측은 최근 공시한 반기보고서에서 "미중 무역분쟁 및 일본 수출 규제 등 대외적 요인들로 인해 시장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신규 CPU(중앙처리장치) 고용량 시장 선점과 스마트폰 탑재량 증가 등을 통해 점유율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스마트폰도 상반기에 수량 기준 18.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글로벌 선두를 유지했다. 해당 점유율은 지난해(17.4%)보다 0.9%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다만 2017년(19.5%)보다는 낮아졌다.
TV는 29.2%의 점유율(IHS마킷 금액 기준 집계)을 기록하며 지난해(29.0%)보다 0.2%포인트 높아졌고 2017년(26.5%)보다는 2.7%포인트나 올랐다.
삼성전자 측은 "올해 8K 해상도의 초고화질 QLED TV를 선보이는 등 TV업계 리더로서 지속적 변화와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 정체 국면에서도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DS 부문의 또 다른 주력인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우 상반기 점유율이 10.0%(IHS마킷 금액 기준 집계)에 그치며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17년에는 14.8%, 지난해에는 12.3%였다.
이밖에 2017년 인수한 전장 전문업체 하만(Harman)의 차량용 헤드유닛 점유율은 23.8%로, 지난해(18.8%)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