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오늘부터 추가관세…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9.01 08:4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미국과 중국이 당초 예고대로 1일부터 상대국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이날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동부시간 기준으로 9월 1일 0시 1분(한국시간 1일 낮 1시1분)부터 총 112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관세를 예고했던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 가운데 상당수 소비재 품목들이 포함된다.

3000억 달러어치 가운데 약 156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은 오는 12월 15일부터 관세부과 대상이 된다. 휴대전화와 랩톱 등이 포함된 핵심 정보·기술(IT) 제품들이 그 대상이다.

중국도 동일한 시점에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 중국 당국은 미국산 수입품 5078개 품목, 750억 달러어치의 상품에 대해 각각 10%와 5% 관세를 추징하며, 일차적으로 9월 1일 낮 12시부터 적용된다. 아울러 12월 15일부터 미국산 자동차와 부속품에 대해 각각 25%와 5%의 관세 추징을 다시 한다고도 추가로 고지했다.

경제규모 1, 2위 국가의 무역전쟁이 확전 일로를 걸으면서 글로벌 경제에 가하는 불확실성도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애초 9월 중으로 예상됐던 미·중 무역협상을 바라보는 시각도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하는 흐름을 감안하면 고위급 접촉을 비롯한 의미 있는 수준의 협상테이블은 마련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미국은 ‘관세 폭탄’을 강행하면서도 무역 협상이 열려있다는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9일 폭스뉴스 라디오 인터뷰에서 미·중 9월 협상 재개의 약속이 유효하냐는 질문에 "다른 급의 협상이 오늘 잡혀 있다"며 "우리는 계속 대화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튿날에도 기자들에게 "우리는 중국과 대화를 하고 있다. 회담이 예정됐고 전화 통화가 이뤄지고 있다. 9월에 회담이 진행될 것으로 추측한다. 그건 취소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중국 역시 ‘항전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국 상무부 측은 "중국과 미국 경제무역대표팀이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오는 9월 중국 대표팀이 미국에 가서 협상하는 문제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정희순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