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안전성은 논란의 대상 아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9.10 09:48

좌담회서 걱국 전문가,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인지’ 중요성 강조
사고 원인 정확한 조사 후 안전기준·정책에 안전대책에 반영해야


MRC_5736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지난 4일 국내외 수소전문가를 초청, ‘수소산업-안전-인식전환’에 관한 지상 간담회를 가졌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최근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주최한 좌담회에서 독일 에너지기후연구소 스톨튼(Detlef Stolten) 박사는 "수소 충전소를 설치함에 있어 장소에 대한 제약 요소는 없으며, 국민들 사이에서도 수소의 안전성은 논란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혀 주목된다.

가스안전공사는 4일 세계 수소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의 전문가를 초청, ‘수소산업-안전-인식전환’에 관한 지상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글로벌 수소산업 동향 ▲수소안전 ▲수소에 대한 인식전환 등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논의내용은 연내 발표 예정인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톨튼 박사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기후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재생에너지발전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전해(P2G)에 대한 유망성이 크다. 다만, 국가적으로 기존 에너지원과의 발전단가, 안전성, 신뢰성 등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낮은 수준이어야 경쟁력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특히 독일에서는 기존 연료 수송관을 수소 운송관으로 재사용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어서 주목된다.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에 초기 투자비용이 큰 상황에서 기존 수송관을 재사용하면 약 80%의 설비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일은 2035년부터 2040년까지 최장 2600㎞의 수송관을 수소용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수소산업에 대한 안전기술은 충분히 개발·확보됐다는 인식이다. 그는 "수소 충전소를 설치함에 있어 장소에 대한 제약요소는 없고, 국민들 사이에서도 수소의 안전성은 논란 대상이 아니다"며, "지역 언론에서도 수소 충전소 안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사례가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일은 수소경제를 특별히 부각하여 홍보를 하지 않으나, 자연스럽게 주변 수소시설 설치 보급을 통해 국민이 접하도록 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그린에너지 보급의 효과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미국, 수소산업은 에너지 독립 문제로 접근

미국에서 수소산업은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에너지 독립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좌담회에서 제임스 비커(James Vickers0 미 에너지부(DOE) 연구원은 "미국은 자국에서 수소를 제조하는 것은 타국에서 에너지 수입을 줄이고, 에너지 독립을 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접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소에너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문별 기술개발은 물론 안정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미국 에너지부는 기술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고 그 결과 현재까지 에너지 펀딩으로 30여개의 기술들이 민간기업을 통해 상용화되는 한편, 앞으로 3~5년 후에는 약 65개의 신기술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안전성 문제는 ‘사업자 자율 안전점검’을 강조했다.

비커 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은 수소사업자가 충분한 안전검증을 하고, 상용화해 활용하고 있다. 고압부분에 대해서는 전문검사기관의 검증을 받는다. 수소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수용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의 원인을 정확하게 조사해 그 대책을 안전기준이나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최근 노르웨이에서 발생한 수소용기 가스누출사고에 대해서는 "사고 장소에 설치된 용기의 설계상의 문제일 뿐 다른 국가에서 설치·운영 중인 전체적인 설계결함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그는 "미국은 수소충전소에서 발생되는 사고 사례를 공개하고, 분석해 개선해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안전성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 수소산업 연구개발 지원, 세제혜택, 보조금 지원, 시장 환경조성 지원 등을 통해 큰 틀에서 수소·연료전지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오히라(Eiji OHIRA) 일본 신에너지기술종합개발기구(NEDO: New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국장에 따르면 일본은 수소에너지로의 경제전환을 추진하고, 2030년까지 단기대책과 2050년까지의 장기대책을 포함한 에너지 정책을 수립·발표했다. 수소연료 가격을 현재 10달러에서 2030년 3달러, 2050년 2달러로 낮출 계획이다. 특히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NEDO는 올해 수소·연료전지 R&D 전체 예산으로 2억2000만 달러를 책정했다.

일본의 수소에너지 안전관리는 이미 검증을 거친 석유화학에 기초를 두고 있다. 오히라 국장은 "석유화학의 경우 이미 시험연구개발, 실증을 통한 검증, 안전기준개발, 안전프로그램 적용 등 안전성 검증 후 보급이 이뤄졌기 때문에 수소 전문가들은 안전관리 기술이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오히려 최근에는 유럽, 미국 등 글로벌 기준 대비 강화된 기준인 수소배관에 대한 안전율 적용규제에 대한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현재도 홍보관 등을 통해 수소의 안전성에 대해 홍보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수소의 기술적 특성과 안전성을 자세히 알리지 못한 국민들이 수소충전소 설치를 반대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의 경우 수소산업 육성 및 안전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법제도가 정비되지 못한 상태다. 국회는 지난 7월 그동안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발의된 각종 법 개정안들을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안으로 통합하고 최종 의결을 앞두고 있다. 당초 수소 안전관리 분야에 대한 법제화가 별도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막판 국회 조율과정에서 육성정책과 더불어 하나로 통합됐다. 법안 통합과정에서는 강릉에서 발생한 수소 저장탱크 폭발사고를 계기로 한국수소안전기술원 설립 계획이 추가됐다.

김연숙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