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사진=산은) |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정책금융기관인 산은과 수출입은행 합병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10일 말했다.
이 회장은 이날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정책금융이 많은 기관에 분산된 게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산은과 수은이 합병함으로써 훨씬 강력한 정책금융기관이 나올 수 있고, 집중적인 지원도 가능하지 않겠나"며 "정책금융도 구조조정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이것은 정부와 협의된 내용이 아닌 개인적인 견해며 산은 내부에서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 회장이 산은과 수은 합병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는 두 기관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기관을 합치면 백오피스 인력이 줄고 가용 예산이 늘어 IT 설비를 강화할 수 있으며, 남는 인력은 영업 현장에 보내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산은을 지방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산은이 해외로 팽창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할 시점에 지방으로 이전한다는 것은 진보가 아니라 퇴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나항공 실적 악화 등으로 매각 흥행이 저조하지 않겠느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구조조정은 어떤 한 시점을 놓고 보는 게 아니다"며 "중장기적으로 이 산업과 기업이 어떤지를 보고 인수·합병(M&A)이 성사되고 대출과 자금투자를 한다"고 강조했다.
적격 인수후보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 두 사모펀드 KCGI와 스톤브릿지캐피탈에 대해선 "재무적투자자(FI) 단독으로는 안 된다는 게 원칙"이라고 분명히 했다. 이들 두 FI가 전략적투자자(SI)와 손을 잡았으면서도 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두고는 "일정 한도 내에서 비밀유지를 하고 싶어 하는 것은 이해한다"며 "조만간 (SI 실체를) 발표하고 투명하게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 회장은 "한국 경제는 최근 어려운 게 아니라 10여년째 어려워지고 있다"며 "과거 정부에서 가계부채 문제나 부동산 문제를 촉발했고, 그 문제가 아직 어려움으로 남았다"고 주장했다. 또 "일본의 수출규제로 소재·부품·장비산업에서 국산화가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 한국경제 취약점을 극적으로 부각한 사건"이라며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중장기 차원에서의 지원도 정부 정책에 맞춰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