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 외국인투자 18년간 41배 껑충…日 비중 최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9.19 10:19

"일본 대체할 투자국 다변화 필요"


소재부품 지원센터 근무자 격려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서울 중구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에서 상담 중인 기업관계자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외국계 소재·부품 기업의 한국 진출과 투자가 지난 18년간 41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에 맞서 해외 원천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계 기업의 투자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돼 일본을 대체할 투자국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부품소재특별법 제정 등 소재부품 관련 정부정책이 본격화된 2001년 이후 소재부품 외국인투자(신고기준)는 2001년 14억달러 수준에서 지난해 593억달러(누적)로 41배 성장했다. 외국인의 제조업투자중 소재부품 분야 투자비율은 2001년 당시 50%도 안됐으나 이후 70% 안팎(누적)을 유지하며 한국의 수출과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했다. 지난해 기준 1만4068개의 외국인투자기업 가운데 제조업체는 3424곳이고 부품소재 분야는 2573곳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소재부품 수출의 경우 2001년 620억달러에서 2018년 3162억달러로 5배 이상 증가했고, 전세계 소재부품 시장 점유율도 2001년 2.9%(세계 13위)에서 2017년 4.8%(세계 6위)로 커졌다.

특히 소재부품에 대한 외국인투자는 국내 산업발전과 긴밀한 연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재부품의 분야별 투자누적액을 보면 전자부품 144억달러(24.2%), 화학제품 119억달러(20.1%), 자동차 71억달러(12.0%), 기타기계 66억달러(11.1%) 순인데 이는 한국의 수출 주력품목 구성과도 유사하다. 외국인투자가 제조업 포트폴리오 등 국내산업 발전과 가치사슬로 연계됐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외국인의 국내 소재부품 투자에서 일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01∼2018년간 소재부품 투자액(593억달러)의 국가별 비중은 일본(27.0%), 미국(13.0%), 네덜란드(9.6%), 독일(7.7%), 싱가포르(5.1%) 순으로 일본이 압도적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에야 잠재적 투자국으로 거론된 러시아는 0%였다. 같은 기간 누적 2648억달러에 이르는 외국인의 한국 총투자신고액 가운데 국가별 비중이 미국(22.3%), 일본(12.6%), 네덜란드(8%), 싱가포르(6.3%), 영국(5.7%) 순인 것과 대비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소재부품 산업에서 외국인 투자는 수출, 고용 등 국가 경제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 밸류체인의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다만 일본 의존도가 커진 소재부품 산업의 외국인 투자를 다변화하려는 노력과 함께 올해 나노, 폴리머, 반도체 재료 등 첨단소재 분야에 대한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