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파문에 文대통령 지지율 역대 최저치로...靑 "일희일비 않겠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9.20 16:01

한국갤럽 조사....文대통령 부정평가 역대 최고치, '인사 문제' 걸림돌

"돼지열병 피해 최소화, 경제활성화 등 과제 해결 총력전"

▲문재인 대통령. (사진=연합)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취임 이후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이 국정지지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국정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정부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차근차근 하겠다고 강조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논란이 거세지며 지지율이 하락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부담이 되는 것 아니냐'라는 질문과 관련해 "지지율이 떨어졌다고 의기소침하거나 방향을 잃는 것은 더 큰 문제"라며 "이럴 때일수록 할 일들을 또박또박 해나가는 것이야말로 국가와 정부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앞서 지지율이 올랐을 때 청와대 직원들은 '춘풍추상'이라는 글귀를 머리맡에 걸었던 기억이 난다"며 "당시에도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정부가 할 일을 또박또박 하자고 다짐했다"고 설명했다.

고 대변인은 "돼지 열병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으며 태풍에도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며 "일본 수출규제 문제도 아직 풀리지 않았고, 국내 산업 생태계 개선을 위해 경제부처는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할 정도로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대변인은 "세계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한국 경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나마 전체적 세계경제 성장률 하락 폭에 비해 한국 경제성장률 하락 폭이 적다"고 자평하며 "여기 머무를 수는 없으며 더 나아지기 위해, 경제활력을 되찾기 위해 모든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 대변인은 "많은 과제가 우리 앞에 산적해 있다"며 지지율 하락에 지나치게 얽매이기보다는 국정운영에 집중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직전 조사인 9월 첫째 주보다 3%포인트 하락한 40%로 집계됐다. 
    
국정수행 부정 평가는 4%포인트 상승한 53%였고, 7%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 조사 기준으로 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취임 후 최저치를, 부정 평가는 최고치를 각각 기록했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 차이는 직전 조사에서 6%포인트였지만, 이번 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인 13%포인트로 벌어졌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 잘함'(18%), '개혁·적폐 청산·개혁 의지'(9%), '전반적으로 잘한다' '복지 확대' '북한과의 관계개선'(7%) 등이 거론됐다. 
    
그러나 부정 평가 이유로는 '인사(人事) 문제'(29%)가 첫번째로 꼽혀,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이 크게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어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20%) '독단적·일방적·편파적'(10%), '전반적으로 부족하다'(7%), '북한 관계 치중/친북 성향'(6%) 등이 지적됐다. 
    
한국갤럽은 "직무 긍정 평가 이유에서는 '개혁·적폐 청산', '인사', '검찰개혁',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인사 문제'와 '독단적' 응답 비중이 늘었다"며 "대부분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 시점에서 조국 장관이 법무부 장관으로 적절한지 물은 조사에서는 '적절하지 않다'(54%)는 의견이 '적절하다'(36%)보다 많았다. 
    
연령별로 보면 '적절하다'는 응답은 30대(52%)에서 가장 많았고, 다른 연령대에서는 '적절하지 않다'가 50%를 웃돌았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
송재석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