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지급여력비율 8.5%p↑…롯데·MG손보 금감원 권고치 미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9.23 15:49
RBC비율

▲사진=금융감독원.

[에너지경제신문=송두리 기자] 국내 보험회사 지급여력(RBC) 비율이 6월 말 기준 전분기 보다 8.5%포인트 상승했다. 보험사별로는 롯데손해보험과 MG손해보험이 금융감독원 권고치인 150%를 밑돌고 있다.

금감원은 6월 말 기준 국내 보험회사 RBC비율은 282.4%로 3월 말(273.9%) 대비 8.5%포인트 상승했다고 23일 밝혔다.

RBC비율은 보험금 지급능력을 나타나는 지표로,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눠 구한다. 보험업법에서는 각 보험사는 RBC비율을 10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금감원은 이 수치가 150%를 넘도록 권고하고 있다.

가용자본은 보험회사의 각종 리스크로 인해 손실금액을 보전할 수 있는 자본량을 의미한다. 상반기에는 시장 하락 등에 따른 기타포괄손익 증가와 당기순이익 시현 등에 따라 9조7000억원 늘었다. 보험회사에 내재된 각종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손실금액을 의미하는 요구자본은 1조9000억원 증가했다. 퇴직연금계정의 신용·시장위험액 추가 반영과 운용자산 증가 등에 따른 신용·시장위험액 1조5000억원 증가 등의 영향을 받았다.

생명보험사 RBC비율은 285.4%에서 296.1%로 10.7%포인트, 손해보험사 RBC비율은 252.1%에서 256.9%로 4.8%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주요 보험사 중 롯데손보 RBC비율이 163.2%에서 140.8%로 22.4%포인트 하락해 금감원 권고 수치인 150%를 밑돌았다. MG손보는 108.4%에서 130%로 21.6%포인트 상승했으나, 150%에는 미치지 못했다. 생명보험사에서는 푸본현대생명이 304.3%에서 221%로 83.3%포인트 가장 많이 하락했으나 200%가 넘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롯데손보와 푸본현대생명은 퇴직연금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공시이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했다가 위험 반영 비율이 상승하며 RBC비율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