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뒤집은 깜짝 실적’…LG전자, 3분기 영업익 7811억원(종합)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0.07 16:36

LG전자

▲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이종무 기자] LG전자의 올해 3분기 실적이 당초 시장 전망과 달리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종전 전망치보다 많게는 1조 원 이상, 영업이익은 1700억∼3600억 원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와 경쟁 심화 등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LG전자 분기별 실적 추이(단위: 원)
구분 2018년 3분기 2018년 4분기 2019년 1분기 2019년 2분기 2019년 3분기(잠정)
영업이익 7488억 757억 9006억 6522억 7811억
매출액 15조 4271억 15조 7723억 14조 9151억 15조 6301억 15조 6990억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LG전자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78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전분기 대비 19.7%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당초 국내 증권사 실적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을 1700억∼3600억 원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앞서 증권업계는 3분기 LG전자의 영업이익이 오히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줄어든 4000억 원 초반∼6000억 원 초반 대로 예상했다.

매출은 15조 699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8% 늘어 역대 3분기 가운데 최대치를 기록했다. 3분기까지 누적 기준 매출(46조 2433억 원)로도 역대 최고치다. 증권업계는 매출액이 같은 기간보다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다.

잠정 실적이기 때문에 사업부별 자세한 실적이 발표되지는 않는다. 다만 시장은 LG전자의 이번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두고 스마트폰 사업의 수익성 개선과 안정 궤도 진입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분기 스마트폰 생산 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데 따른 일회성 비용이 크게 발생한 반면, 3분기에는 일회성 비용이 없는 데다 올 초부터 이어진 인력 축소, 마케팅 비용 축소 등 강력한 ‘내부 조정’을 거치며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LG전자가 올해 출시한 자사 첫 5세대(5G) 스마트폰 ‘V50 씽큐’와 후속작 ‘V50S 씽큐’가 판매 호조로 실적 개선을 뒷받침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주력’인 생활가전제품 사업에 대해서는 분석이 분분하지만, 해당 사업을 영위하는 H&A 사업본부가 전사 실적을 견인하며 나머지 사업의 실적 부진을 상쇄했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평가다. 내수 침체에도 불구하고 의류관리기, 건조기, 무선 청소기 등 이른바 ‘신가전’ 비중이 여전히 힘을 발휘한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TV 사업을 담당하는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본부는 프리미엄 TV 시장 경쟁 과열에 따라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다소 줄어든 것으로 보이며, 자동차 부품(VS) 사업본부는 적자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다.

LG전자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해 추정한 예상치로, 연결 기준 당기 순이익, 사업본부별 구체적 실적 등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 설명회 당일 발표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주주와 투자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16년 1분기부터 잠정 실적을 공시하고 있다.
이종무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