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합의조건, 장소 논의 계속...다음달 중국산제품 관세철회 가능성"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1단계 무역합의 서명이 다음달로 연기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중 간 합의에 대한 의지는 여전하나 합의 조건이나 서명 장소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면서 12월로 미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두 정상 간의 서명식을 갖기 위한 장소는 유럽이 유력하다는 관측도 있다.
미 고위 당국자는 6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무역전쟁을 끝내기 위한 1단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여전하지만, 타결될 가능성이 더 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당국자는 내년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의 탄핵 조사에 직면한 상황을 감안할 때 중국은 '신속한 합의'가 유리한 조건을 끌어내기 위한 최선의 기회라고 보는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미중은 지난달 10~11일 제1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1단계 합의에 상당한 진전을 이룬 후 정상 간 서명을 위한 세부 협상을 진행했다.
중국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의 제거나 완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은 기존에 2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해 오다 미중 협상이 타결 기미를 보이지 않자 지난달 15일부터 이를 30%로 인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달 10~11일 무역협상 진전에 따라 이를 보류한 상태다.
다만 미국은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은 2500억 달러어치 제품 외에 나머지 중국산 제품 중 1250억 달러에 대해 지난 9월부터 15%의 관세를 추가로 물리고 있으며, 다음달 15일부터 추가로 1560억달러의 제품에도 1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중국은 1단계 합의에서 400억~500억 달러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와 함께 환율 조작 금지, 지식재산권 보호 등이 포함된 합의를 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반대 급부로 관세 인상 철회나 완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외신들은 이번 1단계 합의에 12월 15일부터 부과 예정인 1560억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철회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은 미국이 기존에 부과한 2천500억달러 어치의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완화하는 것도 추구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미국이 가능한 한 빨리 모든 관세를 없애라고 계속 압박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두 정상의 서명식 장소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3~4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영국 런던에서 만날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 당국자는 "런던이 검토되지만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또다른 서명 장소로 유럽과 아시아 국가가 포함되지만 유럽일 가능성이 더 크고, 이 경우 스웨덴이나 스위스가 거론된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서명 장소에 대해 아이오와와 알래스카 등 미국이 제안한 미국 내 두 곳이 후보지에서 제외됐으며, 대신 아시아와 유럽 국가가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