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생 간헐성 위해 시스템 구축해야 한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1.10 15:37

-에너지경제연구원 이근대 박사 "재생 출력변동성 대응 위한 시스템 마련이 정부의 최대 과제"
-산업부, "재생에너지 통합관계 시스템 구축과 유연성 설비 확충 등을 추진할 것" 



한국해상풍력

▲해상풍력 발전시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성 대응을 위해 제도적 . 정책적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진보와 원가절감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전 세계 평균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는 태양광의 경우 2010년 0.36달러/kWh에서 2017년에 0.1달러/kWh, 해상풍력의 경우 0.17달러에서 0.14달러로 크게 하락했다. 다른 발전원과 비교해서 재생에너지 경쟁력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보급 수준이 주요국에 비해 아직까지는 낮은 상황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17년 한국이 7.6%인데, 세계 평균은 25%, OECD 국가 평균은 26%이다. 이에 정부는 최근에 발표된 2040년까지 장기 에너지정책 방향을 제시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40년까지 30~35% 수준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이근대 박사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이 35% 수준을 넘어서면 재생에너지 출력 급변동시 출력제한(curtailment)과 ESS, 가스설비 등 백업설비 비용이 빠르게 증대될 수 있다"며 "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성 대응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현재 한국 정부의 최대 과제"라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35%이면 연간 출력제한량 비율이 11%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산업부 관계자는 "발전량의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 재생에너지 통합관계 시스템 구축과 유연성 설비 확충 등을 추진할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양수발전, ESS 등과 같은 유연성 높은 발전설비의 확충은 지형적 제약, 민원 발생, 고비용 등의 한계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생에너지의 실시간 변동성을 반영한 실시간 전력시장 운영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했다. 현재 국내 전력시장은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하기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 국내 전력시장은 여전히 중앙집중형 대규모 발전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전원의 계통 수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분산형, 참여형 에너지 시스템을 확대하려고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 내에 소규모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소, 발전용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소 등의 설치를 유도하며, 분산 전력망의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한 관련 설비확충과 계통체계 정비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그외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동북아지역 계통 연계를 위한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구축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