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2교대제 도입 인력 4천명 충원·SR과 연내 통합 등 쟁점 타결 못 해
KTX 평시 68.9%·광역전철 82%·일반 열차 60%·화물열차 31% 운행 머물 듯
![]() |
▲전국철도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0일 오후 서울역 앞에서 열린 ‘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 파업 출정식’에서 4조2교대 인력충원, 총인건비 정상화 등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이 ‘4조 2교대’ 근무제 도입을 위한 인력 4000명 충원 등을 요구하며 20일 오전 9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철도파업으로 KTX와 광역전철, 새마을호·무궁화호 등 여객열차와 화물열차가 30∼70%가량 감축 운행할 수밖에 없어 출퇴근 시간대 극심한 교통혼잡과 수출입업체 물류 차질이 우려된다.
대입 수시 논술과 면접고사 등을 앞둔 수험생, 특히 철도를 이용해 상경하려는 지방 수험생들의 불편도 클 전망이다.
철도노조는 이미 지난달 11∼14일 ‘경고성 한시 파업’을 벌였다. 무기한 총파업은 2016년 9∼12월 74일간의 장기 파업 이후 3년 만이다.
앞서 지난 5월부터 철도노조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수십차례에 걸쳐 임금협상과 특별 단체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날 오전 9시부터 파업에 돌입한 철도노조는 오후에도 서울역과 부산역, 민주당 대전광역시당 앞, 경북 영주역, 광주 광천터미널 건너편 등에서 지역별 총파업 대회를 열었다.
철도노조 파업 참가율은 출근대상자 1만4395명 가운데 3262명인 22.7%로 집계됐다. 대체 인력을 포함한 근무 인력은 1만2049명으로 평상시의 83.7%에 달한다.
철도노조는 △4조 2교대제 도입을 위한 인력 4000명 충원 △총인건비 정상화(임금 4% 인상) △생명안전업무 정규직화와 자회사 임금 수준 개선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SR과 연내 통합 등을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그 동안 철도 안전과 공공성 강화, 노동조건 개선, 차별폐지를 위해 투쟁했다"며 "철도공사와 정부가 합의했지만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 소중한 합의가 공문구가 되지 않도록 투쟁에 나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늘 우리의 투쟁은 철도 통합을 미뤄 철도 분할 민영화 정책을 유지하려는 자들에 대한 경고"라며 "국민을 위한 철도, 남북 평화철도, 대륙철도 시대로 당당하게 나가자는 정의로운 길"이라고 강조했다.
철도노조의 무기한 총파업 시작 첫 날인 20일 정부에서는 열차 운행을 위한 비상수송대책에 돌입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11시 기준 열차 운행률이 평시 대비 92.2%라고 밝혔다. 열차 종류별로 △KTX 92.5% △일반열차 83.0% △화물열차 40.8% △수도권 전철 98.6% 수준이다.
국토부는 철도공사 직원과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 인력을 출퇴근 광역전철과 KTX에 집중적으로 투입해 열차 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다.
광역전철 운행률은 평시 대비 82.0%로 맞추되 출근 시간은 92.5%, 퇴근 시간은 84.2%로 운행한다.
KTX는 평시의 68.9% 수준으로 운행하고, 파업하지 않는 SRT를 포함해 고속열차 전체 운행률은 평시 대비 78.5%를 유지한다.
일반 열차는 필수유지 운행률인 평시 대비 60% 수준, 화물열차는 31.0%로 운행한다.
국토부는 버스 업계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 협조를 얻어 대체 교통수단도 최대한 활용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도 철도파업에 대비해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 수도권 전철과 KTX에 내부 직원과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