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열린 ‘경찰 최루탄 사용 규탄 집회’(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홍콩 시위가 반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경찰의 최루탄 사용을 규탄하며 최루탄 성분 공개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7일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위대는 지난 6일 밤 홍콩 도심 센트럴 지역에서 집회를 열고 경찰의 최루탄 사용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자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시위대 측은 "최루 가스에 노출된 1만7000명을 인터뷰했다"며 "최루탄이 유해하고 건강에 매우 위험하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시위대 측에 따르면 1만7000명 가운데 23%가 장기간에 걸쳐 눈물과 피부 자극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또 16%는 비정상적인 설사를 경험, 5.5%는 각혈을 하거나 소변 색이 변했다고 응답했다.
한 여성은 집회 중 상영된 영상에 출연해 "최루 가스에 노출될 때마다 사나흘씩 설사를 했고 생리불순도 겪었다"면서 "경찰이 중국산 최루탄을 쓰기 시작한 뒤 한 차례 각혈했다"고 말했다.
연사로 나선 홍콩 공공의사협회 아리시나 마 회장은 "경찰이 사람들이 몰린 곳에서 빈번하게 최루탄을 쐈다"며 "최루탄에 시안화물과 다이옥신 성분이 포함됐는지 알 수 없으니 정부가 성분을 공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경찰은 6월 시위 시작 후 현재까지 최루탄 1만2000발 이상을 사용했다. 지난달 시위대가 점거한 홍콩 중문대에서만 2300발 이상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콩 정부와 경찰은 보안 등을 이유로 최루탄 성분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다만 최루탄의 유독성을 지속적으로 부인해왔으며 최루탄에서 나오는 발암성 다이옥신의 양은 고기를 구울 때보다 아주 적다고 밝히기도 했다.
앞서 중문대는 시위 현장에서 채취한 흙과 물에서 유독성 화학물질을 조사한 결과 검출량이 위험 수준보다 매우 낮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이 조사에는 최루탄이 집중 사용된 학교 입구 쪽 샘플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