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서해위성발사장서 중대한 시험 진행"...내용은 밝히지 않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2.08 11:48

북한 초대형 방사포.

▲(사진=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북한은 평안북도 철산군에 소재한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밝혔다. 해당 시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발사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 개발 관련 시험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북한 국방과학원 대변인은 8일 "2019년 12월 7일 오후 서해위성발사장에서는 대단히 중대한 시험이 진행되었다"고 발표했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대변인은 "국방과학원은 중대한 의의를 가지는 이번 시험의 성공적 결과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에 보고하였다"며 "이번에 진행한 중대한 시험의 결과는 머지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략적 지위를 또 한 번 변화시키는 데서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대변인은 시험의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며, 당 중앙위원회 보고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고됐음을 의미한다.

동창리에는 서해위성발사장과 엔진시험장이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작년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조처로 이들 시설의 영구 폐쇄를 약속했다.

이번 시험은 인공위성의 발사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 개발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있다.

신형 무기 개발을 담당하는 국방과학원이 시험 사실을 발표했고 북한의 ‘전략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북한은 미사일 엔진의 연료를 기존 액체에서 충전 시간이 필요 없어 신속 발사가 가능한 고체로 전환해왔는데 이번에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동력 확인 시험 등을 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은 이미 미국 본토까지 날아가는 화성 14·15형 ICBM 발사에도 성공했지만, 아직 ICBM을 발사할 수 있는 고체연료는 갖추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이번 시험은 북한이 그동안 유예해온 ICBM 시험발사를 재개할 수 있음을 암시해 비핵화 협상에서 미국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한 압박용으로 해석된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시험 당일 낸 성명에서 미국이 ’국내 정치적 어젠다‘를 위해 ’시간벌기 속임수‘를 쓰고 있다고 주장하며 "비핵화는 협상 테이블에서 이미 내려졌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플로리다로 떠나기 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을 협상에 다시 관여시키기 위해 어떤 계획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북한에 대해 지켜보겠다"며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적대적으로 행동한다면 나는 놀랄 것"이라며 "나는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과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 우리 둘 다 그런 방식으로 유지하길 바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나유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