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안을 승인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아직 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는 하지 않았지만,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축소하는 등 상당 부분에 대해 합의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양국은 무역전쟁이 본격화한 지 21개월 만에 휴전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1단계 합의안에 서명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타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블룸버그 보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무역 합의안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양국은 지난 10월 무역 협상의 1단계 합의에 상당한 진전을 이룬 뒤 양국 정상의 서명을 남긴 채 세부안을 조율해왔다.
이번에 마련된 합의안에는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500억 달러어치(약 58조7000억원) 구매하고 지적 재산권 보호와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등을 강화하는 대가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축소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이르면 이달 13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추이톈카이(崔天凱) 미국 주재 중국대사가 1단계 합의에 서명하거나 라이트하이저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에서 서명식을 갖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1시간 동안 참모진과 만났으며, 중국과의 부분적 무역 합의안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도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내년에 500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농산물을 수입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은 이달 15일로 예정됐던 아이폰과 장난감 등을 포함한 1650억 달러(약 193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5% 관세 부과를 보류하고 이미 시행 중인 고율 관세도 완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다만 미중 양국 정부는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미·중 1단계 무역협상과 관련해 "그들(중국)이 그것을 원하고 있고, 우리도 그렇다"며 "중국과의 빅딜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