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습에 사망한 '이란 군부실세'…"중동의 잠재적 터닝포인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0.01.03 16:20

▲미국의 공습으로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는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 쿠드스군 총사령관(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이란 군부 실세인 거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이 3일(현지시간) 미군의 이라크 바그다드 공습에 사망했다.

미 국방부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군은 미국의 해외 인력을 보호하기 위해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제거하는 단호한 방어전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공격 배경에 대해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이라크 주재 미 외교관과 군인을 공격하는 계획을 적극적으로 개발했다"면서 "솔레이마니 사령관과 쿠드스군은 수백명의 미군과 동맹군이 사망하고, 수천 명 이상이 부상한 것에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 국방부는 이어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지난해 12월 27일 이라크 중북부 키르쿠크의 미군 기지에 대한 로켓포 공격을 포함해 지난 몇 달 간 발생한 이라크 내 동맹기지 공격을 기획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라크의 친이란 시아파 민병대가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을 공격한 것도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승인한 것이라고 미 국방부는 밝혔다.

아울러 미 국방부는 "이번 공습의 목표는 향후 이란의 공격 계획을 저지하는 데 있다"며 "미국은 전 세계의 자국민과 우리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공식 트위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솔레이마니 사령관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자신의 트위터에 아무런 설명 없이 성조기 사진을 올렸다. 솔레이마니 사령관에 대한 미국의 작전 성공을 자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란 혁명수비대도 성명을 통해 "명예로운 이슬람 최고사령관 솔레이마니가 순교했다"며 미군 폭격에 의한 사망 사실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혁명수비대의 장성이자 헌법기관인 국정조정위원회 사무총장인 모흐센 레자에이는 트위터를 통해 "미국을 겨냥한 격렬한 보복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란 최고지도자도 강력하게 보복하겠다고 경고했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이날 오전 긴급 성명을 통해 "그의 순교는 그의 끊임없는 평생의 헌신에 대한 신의 보상이다"라며 "그가 흘린 순교의 피를 손에 묻힌 범죄자들에게 가혹한 보복이 기다리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순교자 솔레이마니 장군은 전장에서 세계의 악마들을 상대로 평생 용감하게 지하드(이슬람성전)를 수행했다"라며 "위대한 장군을 보내는 일은 어렵지만, 살인자들을 좌절케 하는 그의 정신과 승리는 계속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최고지도자는 사흘간 추모 기간을 선포했다.

미군의 공습으로 시아파 민병대의 실세이자 카타이브-헤즈볼라의 창립자인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도 사망했다.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PMF)도 이날 솔레이마니 사령관과 알무한디스가 바그다드 구공항으로 향하는 도로를 차로 이동하다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확인했다.

미국은 지난달 27일 이라크 키르쿠크의 군기지에 대한 로켓포 공격으로 미국인 1명이 사망하자 그 공격 주체를 카타이브-헤즈볼라로 지목하고 이틀 뒤 이 조직의 군사시설 5곳으로 폭격했다. 이 폭격으로 카타이브-헤즈볼라 간부와 대원 25명이 숨졌다. 앞서 마크 에스퍼 미 국방부 장관은 지난 2일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게임이 바뀌었다"며 "이란의 추가 도발 조짐이 보이고 충분히 위험하다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날 숨진 것으로 전해진 솔레이마니는 이란 혁명수비대의 정예부대 쿠드스군의 총사령관이자 이란의 역내 전략 설계에 깊이 가담하고 있는 인물이다.

쿠드스군은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 해외의 친이란 무장조직이나 정부군에 대한 혁명수비대의 지원, 지휘를 담당한다. 특히 이라크 내 시아파 민병대가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을 벌일 때 전장에 직접 나가 진두지휘하기도 했다.

외신들은 이번 사태, 특히 솔레이마니 사령관에 대한 표적 공습 때문에 이란의 보복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AP통신은 "이들의 죽음은 중동의 잠재적인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이란과 이란이 지지하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익에 맞선 중동 세력으로부터 엄혹한 보복이 뒤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이란은 원유수출을 봉쇄하고 달러결제망을 퇴출하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인해 자국 경제가 붕괴하는 고통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이란을 둘러싼 중동정세가 더욱 불안해질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박성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